- 입력 2024.10.24 11:55
'친윤계' 추경호 원내대표, 다른 일정 명분으로 최고위 불참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특별감찰관 추천'을 계기로 국민의힘 내의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가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24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 친윤계 좌장격인 추경호 원내대표가 불참했다. 표면적으로는 사전 공표된 외부 일정 참석을 들었지만, 사실상 특별감찰관 추진을 밀어붙이는 한동훈 대표에 대한 반감 표시로 읽혀진다.
이날 회의는 한동훈 대표, 장동혁·김재원·김민전·인요한 최고위원, 김상훈 정책위의장, 서범수 사무총장 등만 참석했다.
한 대표는 이 자리에서 "국민의힘 당대표로서 말씀드린다. 특별감찰관 추천을 진행하자"며 "당대표 업무와 관련해 오해가 없도록 하겠다. 당대표는 대외적으로 당을 대표하고, 당무를 통할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원내든 원외든 당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임무를 당대표가 수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 전체를 총괄하는 사람을 뽑은 것이기 때문에 당대표를 뽑는 전국 선거를 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특별한 결단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 당무 통할권을 갖고 있고 대내외적으로 당을 대표하는 대표가 그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음을 천명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더군다나 자신은 당원들의 전국적 투표에 의해 선출된 당의 총괄 책임자이므로 임명직과는 그 무게감이 다르다는 점을 은연중에 강조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 대표의 이 같은 언급은 특별감찰관 추천이 '원내 사안'이라며 의총을 통해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을 표명한 추 원내대표의 입장에 대한 정면 반박인 셈이다.
친한계 좌장격인 장동혁 최고위원은 "당원들은 하나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국민의힘에 크게 실망하고 있다. 지금은 문제를 만들 때가 아니라 하나씩 풀어갈 때"라며 "당도 대통령실도 문제를 대하고 풀어가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특검법을 막아내는 마지막 힘은 108명 의원들이 아니라 국민들에게서 나온다"며 "국민 우려를 불식시키고 민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다면 어떤 것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역시 친한계인 김종혁 최고위원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그는 "만약 우리가 대통령 공약이기도 했던 특별감찰관 제도조차 온갖 비합리적 이유를 들어가며 도입을 회피한다면, 그것이 여론과 민심으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고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는 불보듯 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대통령께서 국정운영을 하고 외교·안보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것도, 국회의원이 의원총회에서 당 방향과 국사를 논의할 수 있는 것도 민심의 바다 위에 떠 있기 때문"이라며 "민심을 성나게 하는 정치는 제발 그만하자. 우리가 먼저 쇄신해야 어버이당을 향해 달려가는 민주당과 싸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친윤계인 김재원 최고위원은 "최근 우리 당의 사정에 대해 많은 분이 걱정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비판할 때는 적어도 일정한 금도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이 집권여당인 이유는 당원인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에서 국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됐고 우리 당의 당원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라며 "혁신과 변화의 이름으로 우리 편에게 가해지는 공격 정도가 금도를 넘어갈 때는 그 또한 우리 편에게 상당한 상처를 입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불과 얼마 전 보수 진영이 겪지 말아야 할 참담한 고초를 겪었던 과거가 많은 당원과 지지자 가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남아있다"며 "자해적 행위로 보수 진영의 공멸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이성을 되찾아 당원들과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비록 사례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과거 보수세력의 분열로 인해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 당했고 보수우파들에게는 그로 인한 상처가 아직도 남아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분열하지 말자는 호소로 풀이된다.
한편, 특별감찰관은 대통령의 4촌 이내 친인척 등 대통령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람의 비위행위에 대한 감찰을 담당하는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이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제정된 ‘특별감찰관법’에 따라 도입됐다.
2015년 3월 이석수 초대 특별감찰관이 임명돼 활동을 시작했지만, 우병우 전 민정수석 비위 의혹과 관련해 감찰내용 누설 의혹으로 2016년 9월 물러났다. 이후 후임 인선이 이뤄지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