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11.24 15:35

[뉴스웍스=김다혜 기자]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한반도 노동자들이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밝혔다.
24일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부관은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한반도 노동자들이)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 하에서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종전(終戰)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유감스럽지만,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가치에 대해서 이쿠이나 외무성은 "빛나는 (등재) 성과는 위험이 수반된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에 종사한 광산 노동자들을 비롯한 선인들의 헌신의 산물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분들을 포함한 당시 광산 노동자들이 큰 노력을 했다"며 "광산 노동자 중에는 1940년대 우리나라(일본)가 전쟁 중에 노동자에 관한 정책에 기초해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이 포함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금이야말로 선인들이 만들어온 역사를 잘 생각하고 이를 미래에 계승해 간다는 맹세를 새롭게 해야 한다"며 "사도광산 노동자에게 경의를 표하고 희생자를 애도한다"고 말했다.
이번 추도식은 일본 정부가 지난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한국의 등재 동의를 얻기 위해 매년 현지에서 열기로 약속하면서 개최된 행사다.
당초 한국 정부와 유족이 이번 추도식에 참석하기로 했지만, 이쿠이나 정무관의 과거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 등이 논란으로 이어지면서 행사 전날 불참을 결정했다. 우리 당국자와 유가족들은 내일 오전 사도광산 주변에서 별도의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이다.
한편, 일본 아사히신문은 이날 외무성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쿠이나 정무관이 외무성에 '야스쿠니 신사에 의원 신분으로 참배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면서 "이쿠이나 정무관실에 야스쿠니 신사 참배 여부를 물었지만, 관련한 답변을 받을 수 없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 반쪽 된 사도광산 추도식…日참석자 두고 양국 눈높이 '너무 달랐다'
- 日 사도광산 '뒤통수'…정부 뒤늦게 불참 통보
- 외교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동의…"日 전체역사 반영 요구 수용"
- [출근길 브리핑-11월25일] 日 '사도광산 추도식' 홀로 개최·"쿠르스크서 북한군 500명 전사" 보도·尹 '말레이시아 총리'와 회담·트럼프 '농림장관'에 롤린스 지명·밤부터 곳곳에 '강풍·비'
- 韓 정부·유가족 '사도광산 별도 추도식' 조선인 기숙사터서 개최
- [속보] 日, 한국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에 "유감"
- 日정부 "韓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에 유감…이쿠이나 정무관 문제없어"
- 정부, 2년 연속 日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추도사 '강제징용' 표현 이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