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3.17 11:31

다음주 복귀 마지노선…'제적 경고'에도 움직임 없어
교육부 '수업 복귀자' 비판한 건국대 의대생 수사 의뢰

2025학년도 1학기 개강일인 지난 4일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사진=뉴스1)
2025학년도 1학기 개강일인 지난 4일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전국 의대교수들이 교육부와 의대학장을 향해 "압박과 회유로는 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교육부와 의대를 가진 대학의 총장과 의대학장들은 3월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2024년의 3058명으로 조정한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이후 연세대 의대와 고려대 의대는 오는 21일, 서울대 의대는 27일을 복귀 시한으로 정하는 등 전국 의대에서는 미등록 휴학 신청자에 대한 '제적'을 언급하며 복귀를 종용했다.

교육부도 올해는 인위적 학사일정 조정, 일괄 휴학 승인 등의 예외적 조치를 적용하지 않고, 학칙 등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뚜렷한 의대생 복귀 움직임은 관찰되지 않는 가운데 의대교수들이 제자에 대한 '제적 경고'에 유감을 표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17일 '의대학장들께 드리는 글'을 통해 "학생들의 제적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은 교육자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없다"며 "압박과 회유로는 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수들은 원칙과 상식 내에서 최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한다"며 "선결 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즉시 의대 증원, 의료 정책의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의대 학장과 총장들은 더욱 신중하고 진지한 자세로 당사자인 학생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뜻을 헤아려야 한다"며 "이미 무너져 내린 의학 교육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의대생 간 갈등도 커지는 모습이다. 교육부는 지난 14일 "수업 복귀자를 더 이상 동료로 간주하지 않고, 향후 모든 학문적 활동에 참여할 수 없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낸 건국대 의대 학생들에 대한 수사를 경찰청에 의뢰했다.

건국대 의대 본과 2학년, 3학년 등 6명이 학교에 휴학계를 제출하지 않고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히자 이들을 비판한 것으로, 교육부가 운영하는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에 이 건이 접수됐고, 교육부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정부는 이같은 복귀 방해 움직임에 대한 엄정 대응을 천명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의대생 복귀를 방해하는 불법적인 행위에는 엄정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