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27 16:34

[뉴스웍스/세종=정승양 대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3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발표하자 우리 정부가 다음달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안덕근 장관 주재로 긴급 민관 합동 대책 회의를 열고 한국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업계 영향 및 대응 방안을 논의한 뒤 이 같은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자리에서 "우리 자동차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 방안을 강구해나가는 한편 관계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4월 중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안 장관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 정부 고위 당국자들과 현대차·기아, 만도, 현대모비스, 자동차협회, 자동차부품조합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모든 국가 자동차 메이커의 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은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부품에 대해서는 5월 3일 이전에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부품의 경우 엔진과 엔진 부품,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부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로인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의 '빅3' 자동차도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통합 경제권에 있던 멕시코에서 일부 완성차를 생산하고 있어 이번 관세 조치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자동차가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비중이 커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전체 대미 수출의 27%인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에 달한다.
정부는 이날 우리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업계와 공조는 물론 미국 정부와 적극 협의도 진행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