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4.17 15:29

"수업 정상화에 도움되길"…이주호 "의료개혁 후퇴 우려 송구"

지난 3월 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 3월 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이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아가자, 보건복지부가 "안타깝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7일 브리핑을 갖고 "의대 총장·학장들이 의대교육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2024학년도 입학정원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뜻을 모아 정부에 건의해줬다"며 "정부는 이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이들의 의사를 존중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6학년도에 한해 의대 모집인원이 5058명이 아닌 증원 전 2024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됐다.

이후 복지부는 입장문을 배포해 "의대 학사일정이 완전히 정상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여건을 고려한 조치로 생각되지만, 3월 초 발표한 2026년 의대 모집인원 결정 원칙을 바꾸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3월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정하기로 했다. 미복귀 시에는 5058명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후 의대생들이 등록금을 내고 학교로 돌아왔으나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갔다. 그간 교육부는 '수업 참여'까지 해야 복귀라는 입장이었으나, 학생의 수업 참여 설득을 위한 총장·학장 등의 모집인원 3058명 확정 건의를 결국 수용했다. 복지부도 "이번 조치가 의대 수업 정상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이번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한편 이주호 부총리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조정됨에 따라 증원을 기대했던 국민들에게 의료개혁이 후퇴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송구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어디에서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은 여전히 필요하다고 보지만 의대 증원은 양질의 교육을 통해 의료인을 제대로 양성할 때 실현되는 것"이라며 "의대교육을 정상화해 더 이상 의사 양성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