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5.19 18:09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예금보험공사가 IMF 외환위기 및 부실저축은행 구조조정 과정에서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부실 관련자 330명이 보유한 가상자산에 대한 환수 절차에 착수했다.
예보는 "지난해 10월 가상자산에 대한 재산조사 권한이 법제화된 이후 부실 관련자의 가상자산을 발견해 환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예보는 은닉 가상자산의 회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상자산거래소 및 제휴은행과 협력해 파산재단 명의의 법인 실명계좌 개설도 추진 중이다.
예보는 올해부터 가상자산뿐만 아니라 조각 투자, 토큰증권 등 신종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재산조사 범위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실물자산에 대해서도 회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술관 전시 및 매각설명회를 통해 담보 미술품 19점 중 18점(약 3억원)을 매각했으며, 카자흐스탄·캄보디아 등 회수에 난항을 겪던 해외 부동산도 현지 맞춤형 전략으로 매각을 성사시켰다.
이 같은 총력 대응은 상환기금과 특별계정의 청산·종료 시점이 임박한 데 따른 조치다.
상환기금은 IMF 외환위기 당시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지난 1998년 설치됐으며, 오는 2027년 말 청산을 앞두고 있다. 2011년 도입된 특별계정은 저축은행 구조조정 비용을 조달한 재원으로, 오는 2026년 6월 종료될 예정이다.
예보 관계자는 "상환기금 청산 및 특별계정 종료에 대비해 파산재단 보유자산 매각에 총력을 기울여 회수 실적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부실관련자 은닉재산 환수와 차질 없는 파산재단 종력 등 핵심과제 추진을 가속화함으로써 기금의 성공적 마무리를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