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민서 기자
  • 입력 2025.06.06 11:04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 참석…취임 후 첫 국가기념일 행사
"독립운동 3대 망하고 친일 3대 흥한다는 말…이제 사라져야"

이재명 대통령. (사진=뉴스1)
이재명 대통령. (사진=뉴스1)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식에서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며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더 나은 지원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가기념일 행사로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했다.

단상에 오른 이 대통령은 비무장지대 지뢰 제거 작업 도중 부상을 입은 김희태 씨 등 4명(김희태·황해·정윤수·고 박지식)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했다.

이 대통령은 "거룩한 희생으로 대한민국을 지켜내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명복을 빌며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지난달 해군 해상초계기 추락 사고로 순직한 고(故) 박진우 중령, 고 이태훈 소령, 고 윤동규 상사, 고 강신원 상사의 유족분들, 또 지난해 12월 서귀포 감귤창고 화재 현장에서 순직한 고 임성철 소방장의 유족분도 자리를 함께하고 계신다"며 "해마다 현충일을 기리는 이유는 기록하고, 기억하고,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다. 고귀한 헌신과 숭고한 희생 덕에 우리나라가 성장할 수 있었다. 그들의 빛나는 용기 덕분에 민주주의 모범국가로 우뚝 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보훈은 이들의 헌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이자, 국가가 마땅히 해야 할 책무"라며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공동체를 위한 헌신이 영예로운 나라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며 "국가와 공동체를 위한 희생이 합당한 보상으로 돌아오는 나라, 모두를 위한 헌신이 그 어떤 것보다 영예로운 나라가 돼야 한다. 이재명 정부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밤을 지새우며 나라를 지키는 군 장병들과 재난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소방관들, 범죄 현장에서 발로 뛰는 경찰관의 헌신 덕분에 오늘도 우리 국민이 안심하고 일상을 누리는 것"이라며 "군 경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현실화해 국가유공자와 제대군인의 헌신에 합당한 예우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복 입은 민주시민들이 국민을 지킬 동안 대한민국이 군 장병과 경찰, 소방공무원들을 지키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호국영령이 지킨 나라를 빛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책무다. 전쟁 걱정 없는 나라, 안전한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국난 앞에서 나보다 우리를 먼저 했던 대한민국의 저력이라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