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17 18:33
오는 18일 6차 교섭…노조, 18~19일 쟁의행위 찬반투표 예고
"지속가능한 신차 확보·정당한 성과 분배·구조조정 철회 요구"

[뉴스웍스=정현준 기자] 한국지엠(GM한국사업장)이 전국 9개 직영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 일부 부지 매각 방침을 밝힌 가운데, 노동조합이 강하게 반발하며 쟁의행위 절차에 돌입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는 17일 오전 인천 부평공장 조립사거리에서 전진대회를 열고 "한국지엠은 지난 3년간 누적 영업이익 3조9200억원, 당기순이익 2조2600억원을 기록했다"며 "지금까지 투자됐던 8100억 공적자금과 막대한 영업이익은 전부 다 어디로 사라졌기에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를 이유로 부지를 매각한다는 것인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는 주간 조 현장 조합원과 사무직 조합원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한국지엠은 인천 지역에만 50여 개 1차 협력사를 두고 있고, 2~4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관련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인원은 20만명에 달한다"며 "지속가능성이 필요하다면 부평·창원공장에 신차 투입을 확정하고, 가동 중단된 부평2공장과 전환이 필요한 엔진공장에 대한 새로운 투자계획부터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구조조정 계획이 정당한 성과 분배를 요구하는 노동자들을 억제하고, 헌법이 보장한 노동조합의 권리를 탄압하거나 2027년 말 종료 예정인 한국 정부-GM 본사 간 재계약 협상에서 우위를 확보해 정부의 일방적 지원을 기대하는 것이라면 그 꿈은 당장 접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지엠은 지난달 공지를 통해 "급변하는 산업 및 글로벌 환경에서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영 서비스센터 9곳을 순차적으로 매각하고, 이후에도 협력 정비센터 386곳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직영 정비센터 근무 직원의 고용은 보장된다"고 밝혔다.
부평공장 부지 매각에 대해선 "유휴 자산과 활용도가 낮은 토지 및 시설을 대상으로 관련 이해관계자와 협의할 예정"이라며 "계획된 생산 활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사는 오는 18일 6차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며, 노조는 같은 날부터 19일까지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한국지엠 관계자는 "임단협 교섭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2일 사측이 안규백 지부장에게 해고를 통보하면서 노사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 갈 길 바쁜 회사, 발목 잡는 노조…車 임단협 시작부터 '삐끗'
- 한국지엠, 노사협상 중 노조 지부장 해고 통보…노사 전운 고조
- "한국지엠 구조조정 방침 즉각 철회하라"…노조·국회의원 공동 대응 나서
- 심상치 않은 현대차 임단협…7년 연속 무분규 가능할까
- 근본부터 부실 한국지엠…'철수설' 자체보다 그 이유 주목해야
- 한국지엠 노조, 역대 최고 찬성률로 파업 결의…조합원 88.2% 찬성
- 지엠한마음재단, 인천 부평지역 아동학대 예방 AR 교육 지원
- 관세 먹구름 車업계, 임단협 제자리걸음…르노만 '타결' 눈앞
- "미래차 전환도, 신차 계획도 없다…한국지엠 고용보장 어떻게 믿나"
- 한국지엠 노조, 19일부터 부분파업 재개…임금협상 난항
- '임협 난항' 한국지엠 노조 "철수설, 협상 몸값 올리기용…노란봉투법 탓은 핑계"
- 한국지엠, 직영AS 폐쇄에 노조는 법적투쟁 예고…다시 고개 든 '韓 철수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