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22 18:53
대통령실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 불확실성 종합적 고려"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4~25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22일 오후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이 대통령 취임 직후의 산적한 국정 현안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 대통령의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적극 검토해 왔다"며 이같이 전했다.
위 실장은 "여러 가지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로 인한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 에는 이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며 "여타 정부인사의 대참 문제는 나토 측과 협의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나토는 유럽과 북미 지역의 집단 방위를 목적으로 지난 1949년 창설된 군사 동맹이다. 지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IP4(인도·태평양 지역 파트너 4국)를 초청해왔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3년 연속 나토 회의에 참석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계획 등을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 참석 여부를 두고 막판까지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이어 나토 정상회의까지 연달아 참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했다. 조기 대선을 통해 인수위 없이 정부가 곧장 출범한 탓에 새 정부의 국무위원은 물론, 대통령실 참모진 인선도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종의 숨고르기가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반대로 예년과 달리 불참하면 '한국 외교 노선이 바뀌었다'라는 불필요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의견도 일각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나토 정상회의 참석에 대한 최종 결정이 늦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키로 하면서 한미 정상의 만남도 다음 기회로 밀리게 됐다. 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대면이 무산된 만큼, 이번 나토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재추진 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 유예시한인 7월 8일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