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7.02 12:00
HMM 민영화 및 HD현대 KDDX 사업 차질 우려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HD현대와 HMM에 무거운 침묵이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6월 말 11개 부처 장관에 대한 인선을 단행한 가운데, 안규백 국방부 장관 및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 지명은 해당 기업들의 민감한 현안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정부는 그동안 태스크포스 차원에서 논의돼 온 부산 이전 문제를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을 출범하면서 공식화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데다, 최근에도 연내 관련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 정부의 최종 목적은 부산에 해양 클러스터를 조성한 뒤 북극 항로를 개척해 물류 혁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해양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다. 따라서 해수부가 이전한다는 것은 곧 HMM도 따라간다는 의미도 된다. 전 후보자도 의원 시절 민주당 북극항로개척추진위원장 겸 부산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아 해수부와 HMM의 부산 이전을 꾸준히 주장해 왔다.
그러나 HMM 내부에서는 회사가 아닌 정부가 이전을 주도한다는 것은 민영화 포기 및 비효율 행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HMM은 KDB산업은행이 36.02%, 한국해양진흥공사가 35.67%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국민연금과 수출입은행 지분까지 합하면 정부 측 지분은 80%에 달한다.

그러나 HMM은 엄연히 코스피에 상장된 민간기업이다. 더욱이 해운업은 국제유가 등 외부 변수에 지극히 민감한 업종인 만큼, 정부보다는 민간이 맡는 쪽이 효율적이라는 지적도 많다.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불황 사이클을 철저히 분석해 다양한 선종 확보 및 글로벌 해운사들과의 연합, 신규 항로 개척을 위한 영업활동 등을 지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객사와 선박금융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모두 서울에 몰려 있고, 1890명의 임직원 중 절반가량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 중인 것도 업무 비효율 배경으로 지목된다.
그러나 전 후보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북극항로 개척의 시급성을 고려해 직원들을 설득해서라도 HMM 부산 이전을 진행하고, 나아가 매각 작업도 아예 취소하겠다는 등 기존 해수부 입장에 배치되는 구상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 전 후보자는 최근 기자들을 만나 "지금은 (HMM) 매각만이 유일한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HD현대의 경우, 7조8000억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주요 사업자 지위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의 분위기가 감지된다.
HD현대는 이 사업을 놓고 수십 년간 한화오션과 경쟁 중이다. HD현대와 방위사업청은 기본설계 계약을 맺은 업체(HD현대중공업)와 수의계약을 하는 것이 관례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맞서 한화오션 측은 공정하게 경쟁입찰을 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방사청은 국가안보 강화가 시급한 만큼, 지난 4월 HD현대와 수의계약을 하는 방향으로 마무리하려 했으나, 안 후보자(당시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원점으로 돌아온 상태다. 당시 안 후보자는 "일반 지자체에서도 2000만원 이상의 경우엔 수의계약으로 하면 안 되는데, 조 단위를 넘어가는 사업의 경우 수의계약보다는 자율경쟁으로 하는 게 맞다"고 언급했다.
단, 안 후보자가 아직 임명 전인 만큼, 현재 KDDX 사업자 선정 작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한 본인도 4월 자율경쟁 발언 후 KDDX 관련 입장은 표명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조선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당시 안 후보자의 정확한 입장은 새 정부에서 경쟁입찰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었지, 특정 업체를 밀어주겠다는 발언은 그 이전에도 안 한 것으로 안다"며 "경쟁입찰을 한다고 해도 HD현대가 불리하다는 생각은 안 하고, 오히려 수상함 부문에서는 한화오션 대비 수주실적 등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만큼 유리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전재수 "해수부 연내 이전…북극항로 선점, 시간과의 싸움"
- 李 대통령 "본사는 반드시 부산으로"…HMM 혼란, 당분간 불가피
- KDDX 주요 사업자 선정 또 보류…사실상 국회 의견 수용
- "조선만 믿지 마라"…HD현대, 정유·건설장비 '리밸런싱' 나섰다
- 권오갑 HD현대 회장 "실적에 편승 말고, 위기극복 힘 합쳐야"
- HMM, 캘리포니아 오렌지 한국 운송 3년 연속 1위
- 수출입銀 "3분기 수출 3~4% 감소…관세 영향 본격화"
- HMM, 2분기 영업익 2332억…전년比 63.8%↓
- KDDX 결국 수의계약?…국회 국방위 與 간사 '불편'
- 이달 중 '해결' 혹은 '보류'…KDDX 논란, 다시 도마 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