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7.25 08:49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른 나라도 일본처럼 미국에 큰 금액을 투자하면 미국이 부과한 관세율을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연방준비제도(연준) 청사 공사 현장에서 '다른 나라도 돈을 내고 관세를 낮출 수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 난 다른 나라도 돈을 내고 관세를 낮추는 것(buy it down)을 허용하겠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일 무역 합의에서 일본이 약속한 5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기자들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일본이 약속한 투자는 대출 같은 게 아니라 '사이닝 보너스(signing bonus)'이며, 일본이 선불로 냈다고 주장했다. '사이닝 보너스'는 계약 체결 시 선지급하는 돈을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우리한테 5500억달러를 줬고, 관세를 약간 낮췄다. 그러고 나서 일본은 자기 경제(시장)를 모두에게 개방하는 데 동의했다. 이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 개방은 일본이 낸 5500억달러보다 더 가치가 있다. 그래서 경제 개방과 지불금을 함께 해서 우리는 (관세율을) 15%로 낮췄다. 하지만 일본의 관세율은 약 28%였으며 일본은 기본적으로 관세 인하를 구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사 현장을 둘러보기에 앞서 기자들에게 일본의 대미 투자를 '종잣돈(seed money)'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유럽연합(EU) 또한 (협상이) 꽤 잘 되고 있다. 또 다른 국가들도 있다. 모두 매우 큰 거래들이며, 우리나라는 엄청난 돈을 벌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美상무 "韓, 미일 무역 타결에 욕 나왔을것…초조감 역력"
- '방미 귀국' 위성락 안보실장 "한미협상 막바지 중요 국면"
- 美 체류 산업장관·통상본부장 "고위급 협의 예정대로 추진"
- 한미 관세협상 기약 없는 보류에…車·철강 등 수출산업 '멘붕'
- 김정관 산업장관, 美상무장관 만나 관세협상 타결 방안 논의
- '755조' 풀어 車관세 15%로 낮춘 일본…한국의 돌파 해법은
- 대통령실 "협상 품목에 농산물 포함…내일 美와 추가 협의"
- 뉴욕증시, 무역협상 진전 기대에 상승…S&P500·나스닥 '또' 사상 최고
- 8월 1일 전까지 타결해야…韓-美 관세협상 물밑 신경전 치열
- [코인시황] 비트코인, 美-EU 관세 협상 타결에 12만달러 회복 '눈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