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한익 기자
  • 입력 2025.08.11 12:00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지난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또럼 베트남 당서기장 방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지난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또럼 베트남 당서기장 방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이한익 기자] 대통령실이 수어통역 브리핑을 도입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럼 베트남 당서기장의 공동언론 발표를 시작으로 첫 선을 보인다.

대통령실은 청각·언어장애인들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고 사회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브리핑 수어통역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대통령실에 전속 수어통역사가 채용돼 수어통역을 전담 지원하는 것은 역대 정부 최초로 청각·언어장애인들의 국정 참여 문턱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진행되는 모든 브리핑은 수어통역이 동시에 제공되며, 향후 통역 범위를 주요 행사까지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수어통역은 2016년 2월 3일 한국수화언어가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춘 농인의 고유한 언어임을 밝히는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된 이후 농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활동 참여 증대를 목표로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어통역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 중 공공기관 비중이 62.9%에 이르고, 의사소통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공공·금융·의료기관 등에 수어통역사 배치 확대가 86.8%(2023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 국립국어원)에 이를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브리핑 수어통역을 통해 청각·언어장애인들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해 국정 투명성이 한층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을 포함해 대한민국 국민 한분 한분이 소외당하지 않고 불편함 없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