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8.14 14:13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 7월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에 무인기 침투 의혹 등 외환 혐의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 7월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에 무인기 침투 의혹 등 외환 혐의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조은석 특검팀이 14일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재소환해 조사 중이다.

내란특검은 지난해 10~11월 평양 등 북한에 무인기를 보낸 작전이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김 사령관은 이날 오전 내란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고검 청사로 출석하며 합참의장 패싱 의혹을 묻는 취재진에 질문에 "패싱은 절대 있을수 없다"고 밝혔다.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특검은 합참 고위관계자들로부터 김 전 장관이 작년 11월 18일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에게 "다음 오물풍선이 오면 작전본부장이 나에게 '상황 평가 결과 원점 타격이 필요하다'고 보고해라. 그러면 내가 지상작전사령부에 지시하겠다"며 "내가 지시한 것을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에게 보고하지 말라"는 취지로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이 김 의장을 건너뛰고 김 전 장관에게 원점 타격을 건의하면 김 전 장관이 이를 근거로 강호필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에게 타격을 지시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날 김 사령관은 "군 체계를 아는 분은 알 텐데, 패싱은 할 수 없다. 저는 합참 작전본부장에게 지휘를 받는 입장으로, 작전본부장이 보고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며 "이 본부장한테는 모든 것을 공유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장이 반대한 작전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합참이나 국방부 쪽에서 이뤄지는 것은  잘 모른다"며 "임무와 관련된 것은 합참에서 지시하면 수행해야 하는 야전지휘관이기 때문에 의사 결정과정에서 어떻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경호처장이었던 시절 대면보고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대면 보고라는 표현은 안 했으면 좋겠다. 오래 전부터 알고는 지냈지만 문서로 보고하고 그런 건 아니다"라며 "무슨 작전 계획을 경호처장실 가서 보고하고 그런 적은 없고, 검찰에서도 그렇게 진술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작전이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장관이 지시해서 시작했다고 알고 있는데 전혀 아니다"라며 "검찰에서도 진술했지만 오물풍선으로 국민들한테 엄청 피해가 많았지 않았나. 그런데 야전지휘관으로서 아무 것도 하지 말고 지켜보는 것이 군인의 도리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저 또한 대응체계 마련의 일환으로 보고했던 거지, 승인받고 실제 작전이 수행되는 것까지는 제가 관여할 수 없다"며 "우리가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면 작전을 승인하고 수행하는 것은 상부지시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기획 단계에서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 보고용으로 작성됐다는 드론작전사령부의 'V 보고서'에 대해서는 "V 보고서를 계속 얘기하는데, 제가 검찰에서도 그렇게 진술했지만 대통령을 만나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의 통화 내용에 대해서는 "여 전 사령관하고는 동기로, 드론사령부에 인력수급이 잘 안 되는 어려움을 토로했고,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했다"며 "작전과 관련해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