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8.13 18:11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차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월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차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건너뛰고 북한의 오물풍선 부양에 대응하기 위한 원점 타격과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합참 고위관계자들로부터 김 전 장관이 작년 11월 18일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에게 "다음 오물풍선이 오면 작전본부장이 나에게 '상황 평가 결과 원점 타격이 필요하다'고 보고해라. 그러면 내가 지상작전사령부에 지시하겠다"며 "내가 지시한 것을 김 의장에게 보고하지 말라"는 취지로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이 김 의장을 건너뛰고 김 전 장관에게 원점 타격을 건의하면 김 전 장관이 이를 근거로 강호필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에게 타격을 지시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에 이 본부장은 "원점 타격 이전에 반드시 안보실장과 대통령까지 보고 후 승인을 받아야 하고, 동시에 유엔사(유엔군사령부)에도 통보해야 한다"고 반대하자 김 전 장관은 화를 내며 격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은 이같은 상황을 김 의장에게 보고했고, 두 사람은 실제로 원점 타격 건의를 지시받을 경우 합참 및 예하부대와 연결된 화상회의를 끊고 김 전 장관에게 결심지원실로 이동해달라고 말한 뒤 안보실에 상황을 공유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 김 의장은 11월 22일 김 전 장관을 직접 찾아가 원점 타격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나 김 전 장관은 격노하며 뜻을 굽히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본인이 지시하면 원점 타격이 곧바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합참은 이를 막기 위해 시행 절차를 더 복잡하게 마련했다. 원점 타격을 하려면 국방부와 합참뿐 아니라 작전 지휘관들까지 함께 논의한 뒤 승인을 받고, 이후 유엔사에도 통보하도록 절차를 보다 복잡하게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장관이 독단적으로 원점 타격 실행을 지휘하지 못하도록 조건을 달아 저항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후 합참은 이 계획을 김 전 장관에게 비대면 보고했지만 아무런 지침이 없었다고 한다.

아울러 특검팀은 최근 김 전 장관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과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이 시행됐던 작년 9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비화폰으로 30여차례 통화한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화내역 등을 바탕으로 특검팀은 김 전 장관이 합참을 배제하고 직접 작전을 지시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