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17 15:08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계엄을 기획한 핵심 인물들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낸다.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특검팀은 17일 오전 10시부터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사무실에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른바 '북한 무인기 투입 의혹' 관련 노 전 사령관의 직·간접적 개입 여부를 추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노 전 사령관은 지난 4일에 이어 두 번째 특검 소환 조사를 받게 됐다.
북한 무인기 투입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10월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 대남 공격을 유도했다는 의혹을 말한다. 노 전 사령관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70쪽 분량의 '노상원 수첩'에는 북방한계선(NLL)에서 북의 공격 유도와 북과 접촉 방법 등 내란·외환 혐의와 연관된 메모가 적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노 전 사령관은 그간 소환 조사에서 수첩의 작성 경위와 목적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노 전 사령관의 혐의 여부를 밝히는 데에는 난항이 예상된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등 '북한 무인기 투입' 관련 군 간부들을 줄줄이 소환해 조사 중이다.
이 본부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 18일 이 본 부장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북한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 관련 작전 실행 경위를 집중적으로 물었다. 당시 특검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합참 반대에도 무인기 투입 작전을 진행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네 번째 특검에 출석하는 김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 김 전 장관과 공모해 평양에 무인기를 투입하고 군사 도발을 유도하기 위한 작전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특검팀은 김 사령관이 당시 작전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힌 김명수 합참의장을 '패싱'하고 작전을 단행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다만 김 사령관 측은 지난해 6월 작전 기획 시점부터 합참과 보고 공유체계를 이뤄 진행한 작전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김 합참의장은 특검 참고인 조사에서 무인기 투입 관련 사전 보고를 받지 못했다는 취지로 말해, 양측의 진술이 서로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과 김용현 전 장관이 무인기 작전 전후 수십 차례 통화한 사실이 확인된 만큼 두 사람의 공모 관계를 입증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 내란특검, 김용대 드론사령관 재소환…구속영장 재청구 검토
- 김용대 드론사령관 "합참 패싱 없었다…대통령 만난 적 없어"
- "오물풍선 원점 타격"…내란특검, 김용현 '합참 패싱' 정황 진술 확보
- [출근길 브리핑- 8월 18일] 특검 '김건희·김예성' 동시 소환·8월 임시국회 '쟁점法 표결' 앞두고 여야 대치·내란특검 '北 무인기 투입' 관련 군 간부 줄소환·마포구 아파트 화재로 '母子 2명' 참변·500대 기업 '상반기 수익성' 뒷걸음질
- "김건희도 계엄 책임"…시민 1만명, 尹 부부에 위자료 소송
- 내란특검, 법무부·대검·박성재 자택 압수수색…심우정 전 총장도 포함
- 4성 장군 7명 '전원 교체'…합참의장에 공군 출신 진영승
- '평양 무인기 의혹' 尹, 내일 특검 불출석 의사 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