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21 15:00
불법 리딩방·금융광고 차단 성과 공유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감독원이 주요 온라인 플랫폼과 관계기관과 함께 금융투자사기 근절 방안을 논의했다. 자율규제 도입 이후 성과를 공유하고, 불법 금융정보 차단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업계 전반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21일 금융감독원은 김미영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주재로 '온라인 플랫폼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카카오·구글·네이버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과 경찰청, 한국인터넷기업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국무조정실 주관 범정부 금융투자사기 대응 TF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김미영 처장은 "플랫폼이 금감원과 협력해 선제적으로 차단·탐지·신고 시스템을 구축해 성과를 낸 점에 감사한다"며 "자율규제 모범사례를 확산해 업계 전반으로 확대하고, 플랫폼 스스로도 이용자 보호를 위해 더 강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금감원은 최근 온라인 금융투자사기 동향과 범행 수법, 감독당국 대응 현황을 공유했다. 지난해 불법 리딩방으로 인한 피해액은 7104억원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액(8545억원)의 83% 수준에 달했다. 분기별 피해액은 2023년 4분기 890억원에서 2024년 2분기 2326억원으로 급증했다가 2024년 4분기에는 1342억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별 자율규제 성과도 소개됐다. 카카오는 불법 리딩방 차단 정책 강화 이후 제재 건수가 94% 줄었다고 밝혔다. 구글은 금융광고 인증제도를 도입해 초기 단계임에도 성과를 거뒀지만, 불법 광고 근절은 업계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광고 대상 사이트에 대한 사전 검수와 불법 투자 유도 밴드 제재, 신고 표기 강화 등 서비스 개편을 통해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앞으로 범정부 TF와 긴밀히 협력해 온라인 금융투자사기 대응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자율규제가 신종 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소통을 강화하고 모범사례를 공유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의 법제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