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28 12:02
"통화정책 실기 아냐…내년 상반기까지 인하기조 유지"
"한미 정상회담 '긍정적' 평가…올해 성장률 0.9% 전망"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연 2.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과 관련해 "물가가 안정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성장세는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지만 내수를 중심으로 다소 개선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수도권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 추이를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 기준리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변화를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관련 총재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동결 결정에 대해 신성환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2.25%로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이처럼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이 동결을 선택했다. 동결을 주장한 위원들은 "6.27대책이 상당한 효과를 나타냈지만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추이가 충분히 안정됐다고 보기 힘든 상황"이라며 "정부가 추가 부동산 대책을 마련할 경우 정책 공조를 할 필요성도 염두해둬야 하고, 마국과의 금리 격차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반면 소수의견을 제시한 신 위원은 "금리 인하가 주택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할 위험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현재 부동산 가격 상승추세가 상당한 정도 주춤해졌고, 연준의 9월 금리 인하가능성도 높은 상황인 만큼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해 경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냈다.
금통위원들은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봤다. 5명은 잠재수준보다 낮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2.50%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나머지 1명은 금융안정 리스크가 해소되는데 시간이 좀 더 필요한 만큼 현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였다.
이 총재는 추가 인하 시기와 폭에 대해 "안정된 물가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분가 낮은 성장세가 전망되기 때문에 금리 인하가 기조를 이어 나갈 필요가 있지만,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와 폭 등은 경제전망 불확실성이 크고 금융안정 측면 리스크에도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는 만큼 향후 입수되는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금리 인하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1.0%포인트를 빠르고 선제적으로 인하했고, 실질금리수준은 다른 선진국보다 낮다. 유동성 지표를 봐도 상당한 완화기조"라며 "성장률이 낮은 것은 상반기 동안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특히 "경기 부양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금리를 빠르게 내릴 경우 경기를 올리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를 상승시키는 부작용이 더 심하기 때문에 인하 시기를 조절하고 있을 뿐이지 실기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 "내년 상반기 낮은 성장률이 예상되는 만큼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인하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클 것"이라며 "인하 기조 아래 시기와 정도는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정상회담 결과가 예상보다 순조롭고 긍정적으로 나타나 금리 동결하는데 부담이 덜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0.9%로 제시했다. 5월 전망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2차 추가경정예산과 경제심리 개선으로 소비 회복세 등이 예상보다 커진 것이 오해 성장률을 0.2%포인트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수출 측면에서도 성장률을 0.2%포인트 높이는 요인이 있었다. 지난달 말 타결된 협상 결과 평균 관세율이 5월에 봤던 수준과 큰 차이 없었지만 반도체 경기 호조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자동차 수출이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건설 경기가 부진한 점은 성장률을 0.3%포인트 정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내년 성장률은 1.6%로 기존 전망과 동일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