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9 14:47
"중단 행정서비스 조기 복귀 최선"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전소 피해를 입은 96개 전산시스템을 대구로 옮기는 데 한 달 가까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정자원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데 약 4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오늘 1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정상화됐고, 1등급 업무는 16개(44.4%)가 정상화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추석 연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 우체국 우편과 금융서비스가 우선 복구됐으며,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주요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정부24 서비스도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다시 이용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직 복구되지 않은 많은 시스템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계신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행정서비스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필사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입어 전소된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등 총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입주기업 협조를 통해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병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면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장기간 장애가 예상되는 96개 시스템은 대체수단을 확보하고 있다"며 "국민신문고, 통합보훈 등 민원신청 시스템은 방문·우편 접수 등 오프라인 대체 창구를 운영 중이며,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김 차관은 화재가 발생한 대전센터 복구에 대해선 "공무원 및 사업단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현장에 투입 중"이라며 "화재 영향이 적은 전산실 시스템부터 재가동 중으로,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기동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국가 전산망 '마비' 나흘째 계속…정오 기준 '62개' 서비스 복구
- 국힘 "국가 전산망 마비…대통령 직무 유기의 끝장판"
- 장동혁 "허술한 관리, 사이버 위기 초래…화재 원인 철저 규명해야"
- 일부 복구에도 상당수 전산망은 '먹통'…월요일 '민원대란' 불가피
- 李대통령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송구…밤새워서라도 복원"
- 윤호중 행안장관, 국정자원 대구센터 찾아 "이전작업 총력"
- 성일종 "국정자원 화재, 국가안보 테러로 규정해 철저 수사 필요"
- [출근길 브리핑-9월 30일] 국가 전산망 '마비' 혼선·부산 韓日정상회담·2031년까지 서울시 '31만 가구' 착공·추석 당일 교통정체 '절정'·끝판대장 오승환 '은퇴'
- 배터리 화재가 낳은 정부 전산망 마비…AI인프라 거버넌스 재정비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