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02 06:00
주민 이익환원 39년간 최대 35조 제시
18GW 해상풍력, 전남에 97조 부가가치
인허가·PF·항만 병목 해소가 성공 요건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전남 해상풍력 18GW 프로젝트가 249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억290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낼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환경·사회적 파급효과가 구체적으로 제시됐으나, 인허가 지연, 금융 구조 한계, 항만 인프라 부족이 핵심 과제로 지적됐다.
녹색전환연구소와 오션에너지패스웨이가 언론브리핑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남 해상풍력 18GW 조성에는 총 156조6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며, 2028년부터 2037년까지 91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연구는 2018년 착수해 2064년까지 이어지는 47년 장기 프로젝트의 경제·환경 효과를 종합 분석한 첫 사례다.
18GW 완공 시 부가가치 창출액은 전남 기준 최대 44조원, 전국 기준 97조원으로 예측됐다. 고용 효과는 전남 지역 최대 47만명, 전국 104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생산유발 효과는 최대 249조원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보수적 시나리오(8GW)에서도 65조원의 효과가 기대된다.
재정적으로는 2025년부터 2063년까지 연평균 1151억원, 누적 4조원이 넘는 지방세 수입이 예상됐다. 주민 환원 규모는 최소 20조원에서 최대 35조원으로 제시됐다.

환경적 성과도 크다. 18GW 가동 시 온실가스 4억2900만톤(최대 4억9200만톤) 감축이 가능하며 사회적 비용 환산액은 45조~85조원에 달할 것으로 평가됐다. 석탄화력 3~8기를 대체하면서 SOx·NOx·PM 등 대기오염물질 20만~66만톤의 배출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국내 해상풍력 상업운전 설비는 0.321GW에 불과해 정부 목표치(2030년 14.3GW)의 2% 수준이다. 발표에서도 인허가 절차, 제도 개선, 항만 확충, 금융 지원 체계 부족이 추진을 가로막는 구조적 병목으로 지적됐다. 이번 분석 보고서의 주요 경과는 ▲2018년 전남 해상풍력 타당성 조사 ▲2021년 해양수산부·어업단체 협의 ▲2023년 고정가격입찰제(FIT) 도입 논의 ▲2025년 7월 FIT 안정화 확정 ▲2025년 9월 경제효과 분석 발표 순이었다.

전남도는 "대규모 투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에너지 자립 달성 전략"이라고 강조했으며, 한전은 "계통 연계구역 확충과 스마트 변전소 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어업단체는 "어장·해양생태 영향평가가 미흡하다"고, 금융권은 "PF 활성화를 위해 공적 보증과 위험 분담 장치 마련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지역 에너지 산업 관계자는 "감축량과 부가가치 산정 방식의 편차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수치 신뢰성이 높아진다"며 "이익공유제 구체 설계, 항만·인력 공급망 확충, PF 보증 체계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지자체가 분석 결과를 정책 로드맵에 반영하고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재생에너지 전환이 성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