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15 13:37
광주, 반도체·차·기계 고른 증가세…주력 품목 회복
전남, 대중·대미 수요 둔화 지속…지원체계 보완 과제

[뉴스웍스=김영환 기자] 광주와 전남의 무역 수지 간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 광주지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5% 폭증했지만, 전남지역은 3.6% 역성장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광주·전남 전체 수출 50억8000만달러, 수입 37억9000만달러로 무역수지 13억달러 흑자를 달성했으나 지역별 온도차가 극명해 정책·기업 차원의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15일 광주본부세관 발표에 따르면 9월 광주·전남 지역 수출은 50억8000만달러, 수입은 37억9000만달러로 집계돼 무역수지 13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7.2%, 수입은 1.7% 증가했다.
광주는 수출 ‘쾌속 질주’를 보였다. 광주 지역의 9월 수출은 15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3.5% 증가했다고 전해졌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73.6%, 수송장비 49.6%, 기계·정밀기기 14.3%, 가전제품 7.8% 증가했다. 교역 상대국별로는 동남아 59.5%, 중국 45.5%, 미국 22.2% 증가가 집계됐으며, 전월 대비로는 11.6% 늘었다.
기업 사례로 기아 오토랜드 광주는 셀토스·쏘울 부스터·스포티지 등 주력 차종의 미국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2.2% 증가했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 반도체 장비업체인 금명하이텍의 2차전지 생산설비 수출은 상반기 2000만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 지역의 9월 수출은 35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했다. 품목별로 화공품 6.1%, 철강제품 1.2%는 증가했으나 수송장비 -28.8%, 석유제품 -6.1% 등은 하락했다. 교역 상대국별로는 중국 -3.2%, 미국 -12.2%로 수요 둔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지역은 포스코퓨처엠이 올해 6월 4400억원을 투입해 새만금에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시설을 건설하는 등 신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으나, 기존 석유화학·철강 중심 산업 구조의 전환이 더딘 상황이다. 지역 산업계에서는 구조 전환 속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생태계 측면에서 광주테크노파크와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본부는 인증·물류비용 지원과 정기 컨설팅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정책 성과로 광주시는 통합형 수출바우처(기업당 1000만원, 시비 70%)와 통번역·해외마케팅, 수출보험료(최대 300만원) 지원을 통해 9월 7개 기업이 약 1038만달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특송비·디자인 개발 지원과 차세대·히든챔피언 육성으로 5개 기업이 약 830만달러 계약을 맺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지원체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대기업-중소기업 간 연계 부족과 신시장 개척 한계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통상 환경의 경우 8월부터 한·미 관세협정 타결로 미국의 대한국 관세율이 15%의 상호관세가 적용돼 기존 일반관세와 합쳐 총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지역 업계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망 다변화로 리스크 관리를 추진 중이지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연구기관에 따르면 관세 25% 적용 시 현대차그룹 연간 관세 비용은 약 8조4000억원 수준으로, 영업이익률은 6.3%로 변동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아 광주공장의 경우 대미 수출 비중이 높아 관세 정책 변화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전망이다.
정부와 광주시·전남도는 수출바우처를 통한 통관 자문, 분쟁 대응, 대체 공급망 확보를 확대 중이다. 무역 산업 전무가들은 ▲AI 기반 관세 리스크 조기경보(HS코드·원산지 규정 변화 실시간 알림) ▲선보험형 수출보험·관세선납보험 설계 ▲중소기업 공동 창고·공동 포워딩 도입 ▲해외 인증(환경·안전) 패스트트랙 지원 등이 제시했다.
광주 경제 정책 전문가는 "광주·전남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통합 전략으로 원스톱 스마트 수출지원 플랫폼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바우처·금융·물류·통관 정보를 통합한 단일 플랫폼을 구축해 중소·중견기업의 행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 탄력성 강화를 통해 시장·원자재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해외 R&D 거점을 확대해 특정 국가 의존도를 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AI 기반 관세·물류 리스크 예측 체계 도입으로 관세 변동과 물류 지연, 환율 리스크를 사전 시뮬레이션하고 예측 결과를 기업·기관에 실시간 제공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또 다른 정책 관계자는 "정책 수립·성과 모니터링·현장 데이터 공유를 담당하는 산학연 상설 협의체 운영과 탄소중립·친환경 공정 제품에 대한 해외 인증 취득비·컨설팅 지원을 통해 글로벌 친환경 시장 진출을 촉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내 무역업계 한 관계자는 "광주와 전남의 수출 격차는 산업 구조와 지원 체계 차이에서 비롯된 측면이 적지 않다"며 "광역·기초 지자체와 유관 기관의 연계 플랫폼을 통해 바이어 매칭과 물류·금융 패키지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관세 25% 환경에서는 미국 현지 생산·조달 다변화, AI 기반 관세 예측 시스템, 산학연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광주·전남형 혁신 수출모델'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는 "광주와 전남의 9월 수출 실적 격차는 지역 산업 구조의 차별화가 만든 결과로 해석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광주가 43.5% 급성장을 달성한 것은 기아 오토랜드를 축으로 자동차·반도체 생태계가 시너지를 발휘한 한 단면으로 읽힌다"고 분석했다.
그는 "반면 전남의 3.6% 감소는 기존 석유화학·철강 중심 산업에서 벗어나 신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해야 할 시급성을 드러낸다"며 "한미 관세 인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도전 과제를 기회로 바꾸려면 지자체·기업·전문기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광주·전남형 혁신 수출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