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일영 기자
  • 입력 2025.10.22 12:00
(출처=금융위원회)
(출처=금융위원회)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생명보험사가 고령자의 윤택한 노후 생활을 보장하는 상품을 오는 30일부터 선보인다.

금융위원회는 5개 생보사(삼성·한화·교보·신한·KB)가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1차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오는 30일부터 진행되는 1차 출시 유동화 대상 계약은 41만4000건, 가입금액은 23조1000억원(올해 9월말 기준)에 달한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대상 계약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에게는 오는 23일 문자 또는 카카오톡 개별 안내가 이뤄질 예정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사망보험금을 생전 활용한 연금 자산으로 유동화하는 상품이다. 그간 정부와 주요 생보사가 TF를 구성해 해당 상품을 준비했고, 22일 열린 '사망보험금 유동화 점검회의'를 통해 출시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1차 출시 이후에는 내년 1월 2일까지 모든 생보사(대상 계약이 없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 IBK연금보험 제외)에서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출시한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대상 계약 보유자는 상품 출시 일주일 전 개별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망보험금 유동화 대상은 약 75만9000건, 가입금액은 35조4000억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이 55세 이상 고령층 전용 제도인 점을 감안해 시행 초기에는 대면 고객센터 또는 영업점을 통한 신청만 가능하다.

(출처=금융위원회)
(출처=금융위원회)

생보사는 소비자 선택 편의를 위해 '사망보험금 유동화 비교 안내 시스템'을 개발했고, 유동화 신청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선택한 유동화 비율 및 기간에 따른 지급금액 비교결과표가 제공될 방침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의 해약환급금을 재원으로 하므로, 환급금이 많이 적립된 고연령 계약자일수록 더 많은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개인별 상황을 고려해 유동화 개시 시점과 수령 기간 등을 선택하면 된다. 유동화 도중 필요한 경우 중단 또는 조기 종료 신청도 가능하며, 이후 유동화 재신청도 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사망보험금 유동화 금액을 서비스(헬스케어, 간병, 요양 등)로 제공하는 것을 넘어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보험상품의 서비스화'를 촉진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활용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서비스형 상품 준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혁신금융서비스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사망보험금 유동화와 같은 보험 상품을 통해 노후 대비를 지원할 수 있는 상품과 제도 등을 지속 개발하고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