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4.05.01 08:00

연준 금리 인하 '9월 이후' 판단 우세…바클레이즈 "한은 10월 첫 인하 예상"

미 연준 본부. (출처=Fed SNS)
미 연준 본부. (출처=Fed SNS)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내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정책금리를 결정한다. 우리시간으로 오는 2일 새벽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시장은 연준이 정책금리를 현재의 5.25~5.50%로 유지할 것을 확실시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대부분의 물가지표들이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은 상황임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 금리는 지난해 7월 5.25%에서 5.50%로 인상된 뒤 9월과 11월, 12월, 올해 2월, 3월까지 5연속 동결 중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4월 30일 기준 이번 FOMC 동결 확률은 무려 96.8%에 달한다. 6월 FOMC에서의 동결 확률도 88.0%로 압도적이다. 7월에도 동결 확률이 69.8%로 우세하다.

9월에서야 동결(41.9%) 확률이 절반 아래로 떨어진다. 불확실성이 크지만 현재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을 9월 이후로 판단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대부분 전문가들이 이번 FOMC에서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 중이다. 최근까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양호한 노동 수요 및 예상보다 부진한 인플레이션 완화 등을 거론하며 다수의 위원들이 보다 높은 수준의 금리가 좀 더 오랫동안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회의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은 '매파적'일 것으로 보인다. 인상 관련 언급을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연준위원들이 예상보다 높은 물가 흐름에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으면서 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될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강화됐다"며 "이를 고려할 때 이번 회의에서는 정책금리 동결과 함께 다소 매파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간의 정책 금리 동결 기조 속에 근원 물가 둔화 흐름은 확인해 온 만큼 일각에서 부각되고 있는 금리 인상 대응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축할 것으로 보인다"며 "임금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고, 주거비 등 서비스물가 둔화세가 이어져오는 만큼 추가 인상 가능성을 자극할만한 논의는 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2주를 거치면서 금융시장의 연내 3회 인하 기대는 소멸했다"며 "연준 인사들의 일련의 매파적 발언을 거치면서 금리선물에 반영된 연내 인하 기대는 1.5 회 수준으로 빠르게 줄었고, 첫 인하 시기도 5~6월에서 9~10월로 급하게 이연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본관. (사진=뉴스웍스DB)
한국은행 본관. (사진=뉴스웍스DB)

연준의 금리 동결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도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올해 한은이 통화정책에 있어 국내요인을 더 고려하겠다고 지속 언급하고 있으나 2.0%포인트까지 벌어진 한미 금리 역전폭은 부담이다. 

이에 연준이 9월 인하를 단행한다고 가정하면 이르면 8월 한은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9월에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없어 인하 시점이 10월로 넘어가기 때문에 연준의 인하가 확실시된다면 선제 인하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준의 9월 금리 발표일은 19일로 한은 금통위(8월 22일, 10월 11일)의 중간에 위치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중 일부는 한국경제의 강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한은의 첫 인하 시점을 4분기로 예상하는 모습이다. 한국 경제는 1분기 1.3% 성장하면서 시장 예상(0.6%)을 크게 상회했다. 예상보다 강한 성장률로 한은이 추가적으로 상황을 지켜볼 여유가 생겨 인하 시점이 지연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바클레이즈는 "한은이 당분간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하 시점을 8월에서 10월로 조정했다. JP모건도 "성장과 인플레이션 전망의 상방리스크를 고려해 첫 번째 인하 시기를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했는데, 이번 1분기 GDP 데이터는 이를 뒷받침한다"고 언급했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중 금통위에서 2차례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하는데, 인하 시점과 횟수는 국내 인플레이션 둔화 경로에 달렸다"며 "이창용 한은 총재가 하반기 인하 조건으로 제시한 것은 연말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 수준에 수렴하는지 여부"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인플레 둔화 기조가 이어지려면 환율 안정이 필요하다"며 "연준 금리 인하 시점이 계속 지연될 경우 환율 안정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결국 연준의 통화정책 피봇(정책 전환)이 확실시돼야 한은의 움직임이 가능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