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백종훈 기자
  • 입력 2024.04.30 19:17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한국회계기준원이 국내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관련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회계기준원은 국내 기업 ESG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국제 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ISSB)가 제정한 기준을 시작점으로 국제 정합성과 국내 수용가능성을 균형 있게 고려했다"고 30일 밝혔다.

공시기준 초안은 일반 목적 기업 재무 보고서 이용자가 기업에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할 때 유용한 정보를 기업이 제공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해 제정됐다.

초안의 주요 내용은 크게 ▲제1호 일반 사항 ▲제2호 기후 관련 공시 사항 ▲제101호 정책 목적을 고려한 추가 공시 사항 등이다.

일반 사항은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 정보를 공시할 때 요구되는 것을 제시한 본문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시하는 부록으로 구성됐다.

이는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 공시를 작성하고 보고할 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재무 공시란 단기, 중기 또는 장기에 걸쳐 기업 전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보고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정보 공시의 형태를 뜻한다.

또 기후 관련 공시 사항은 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들을 제시하는 본문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시하는 부록으로 구성됐다.

이는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정보를 공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해 핵심 요소별로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핵심 요소에는 거버넌스, 전략, 위험관리, 산업 전반 지표, 전환 위험, 물리적 위험, 내부 탄소 가격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 목적을 고려한 추가 공시 사항은 다양한 위치에 산발적으로 공개되고 있는 정보를 지속가능성 재무 정보 공시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정보 유용성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시 항목은 국내 법규에 따라 공개 중인 정보, 정부의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보로 구분돼 있다. 법규에 따라 공개 중인 정보에는 배출권 거래제,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도 등이 있다. 정부의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보에는 강제노동 예방을 위한 정보, 산업안전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회계기준원 관계자는 "지난 3개월 동안 이미 200여 개 상장사들을 포함한 여러 이해관계자와 사전 협의를 거쳤다"며 "다음 달 1일부터 오는 8월 31일까지 이어질 의견 조회 기간 이후에도 최종 기준 제정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지속해서 청취해 최종안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4개월 간의 의견 조회 기간동안 적극적인 아웃리치 활동도 진행할 예정"이라며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자문위원회 및 자문위 내 소위원회를 통한 자문 의견수렴, KAI 포럼, 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해 국내 이해관계자들과 공개 초안의 제안 사항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준원은 공시기준 최종안 발표 시 기업들의 공시기준 적용 및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지침이나 교육자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작년 10월 1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계 대상 라운드테이블'에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작년 10월 1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계 대상 라운드테이블'에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2일 'ESG 금융추진단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 기후 관련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공개 초안 전문을 이달 말 발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자리에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해외 주요국은 ESG 공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며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ESG 공시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며 미국은 지난달 기후 분야를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 방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국내 ESG 공시기준은 우리 경제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다지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ESG 공시기준 제정을 통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ESG 규제강화 흐름에 사전에 대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