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4.08.22 11:01

아파트담보대출부터 빌라·오피스텔 전방위 억제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김다혜 기자)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김다혜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가계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해 시중은행이 연일 대출금리를 올리고 있다. 금융당국의 지시라고 하지만 매주 인상되는 금리 속도를 서민들은 이해하기 힘들다.

우리은행은 오는 26일부터 주택자금대출 금리를 최소 0.1%에서 최대 0.4% 인상한다.

인상되는 대출상품은 아파트담보대출, 주택(연립/다세대) 담보대출, 오피스텔 담보대출, 우리WON주택대출 등 사실상 모든 부동산이 해당된다.

전세대출 역시 인상된다. 우리전세론 우대금리 축소를 시작으로 대출이동 대환대출 특별 우대금리도 폐지했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이달에만 4번의 대출금리를 인상한다. 8월 2일 0.3%, 12일 0.4%, 20일 0.3%, 26일 0.4% 등 총 1.4% 금리를 올렸다.

눈에 띄는 점은 변동금리뿐만 아니라 고정금리까지 손을 댔다는 점이다. 아파트담보대출의 경우 신규코픽스 12개월 외에도 3년 고정혼합, 5년 고정혼합도 0.4% 포인트 인상했다.

그동안 변화 폭이 적었던 신잔액코픽스 기준도 0.2% 올려 서민들이 낮은 금리를 선택할 수 있었던 기회도 사라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리인상에 대해 "가계대출의 적정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출금리 인상만으로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긴 힘들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가계대출 증가는 부동산 상승세와 맞물려 집을 구매하고자 한 고객들이 많은 게 원인이다. 특히 내달부터 DSR 2단계 시행으로 대출 한도가 줄 것이란 불안감 때문에 이달까지 대출 막차를 타려는 고객들이 은행 지점을 찾고 있다.

과거에도 부동산 억제를 위해 투기·과열지구에 대해 주택담보대출비율을 40%로 제한적이 있지만 집값 상승으로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투기지역 규제를 대폭 완화해 현재 투기지역은 강남 3구, 용산뿐이다. 결국 이들 지역을 제외한 부동산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가계대출 증가세는 더욱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