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안광석 기자
  • 입력 2025.04.21 11:00

포스코그룹 "합작 방식 등 세부내용은 조율 중"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한석원(왼쪽 네 번째부터) 부사장과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 이주태 사장 등 관계자들이 철강 및 이차전지 핵심 소재 등에 대한 업무 협약식(MOU)을 진행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한석원(왼쪽 네 번째부터) 부사장과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 이주태 사장 등 관계자들이 철강 및 이차전지 핵심 소재 등에 대한 업무 협약식(MOU)을 진행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포스코그룹이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제철소 건립 투자에 손을 보탠다.

포스코그룹은 21일 현대차 양재동 사옥에서 현대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사는 글로벌 경제블록화 및 급변하는 통상환경 아래 탄소저감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시너지를 창출한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에서 완결형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현대차그룹이 발표한 8조5000억원 규모의 대미 철강 투자에 참여한다.

그동안 미국 제철소 투자 합작설은 업계에 나돌았으나, 양사 간 오랜 악연으로 실현은 의문시돼왔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자세한 합작 방식 및 액수 등 상세내용은 협의를 거치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 지역에 원활한 소재를 공급할 수 있어 유연한 글로벌 생산 및 판매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을 비롯해 북미 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 중이다.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및 기아 사옥.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및 기아 사옥.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후의 글로벌 전기자동차(EV)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성장 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