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06.19 14:43

사측 1.5% 인상 제시 한 달만에 2%로 수정
4.5일제 도입 두고는 이견…정부 의지 관건

4대 은행 ATM기기. (사진=이한익 기자)
4대 은행 ATM기기. (사진=이한익 기자)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은행권 임금협상이 예상 밖으로 노조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친노동 기조를 강화하면서, 금융사 경영진도 정부 기조에 호응하는 분위기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사측은 2.0% 인상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가 요구한 7.1% 인상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한 달전 진행된 2차 교섭 당시 제시한 1.5%보다 0.5% 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과 비교해 사측 태도가 빠르게 유연해졌다"며 "노조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자 사측도 예년과 같은 공세적 협상 전략을 접은 모습"이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사측은 기준금리 인하와 경기 둔화, 해외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면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은행권은 대손충당금 선제 적립 등으로 손실흡수 능력도 충분한 상황"이라며 "매번 불확실성만 내세우는 건 책임 회피"라고 주장했다.

아직 노사 간 이견차는 보이지만 과거 사례를 감안하면 최종 인상률은 공무원 임금인상 수준인 2~3% 내외에서 타협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임금 외에도 금융권 노사는 '4.5일제 근무' 등 사회적 의제를 놓고 팽팽한 긴장감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단체협약이 아닌 임금협약만 다루는 만큼, 관련 논의는 중앙노사위원회로 넘긴 상태다.

사측은 제도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정부 정책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는 신중론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노조는 "은행이 선도적으로 제도 논의를 주도해야 한다"며 사측의 소극적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과거 2002년 주5일제 전환 당시 금융권이 노사 합의를 통해 선제 도입에 나섰던 전례가 있는 만큼, 정부의 입법 추진 이전에 업계가 먼저 행동에 나설 명분도 존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이 노사 교섭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연말까지 이어질 협상 과정에서 노조 우위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