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6.22 14:30
가스공사 "정부로부터 참여 관련 지침 없어"
과거 당사자 미국도 포기…사업성 의문 여전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신정부 출범 이후에도 총사업비 440억달러(약 60조원)에 달하는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참여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워낙 사업성이 떨어져 장본인인 미국도 과거 포기한 전적이 있는 데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로 구성된 정부 시찰단도 최근 현장에서 사업 참여를 위한 만족할 만한 정보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21일 에너지 개발 업계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 측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관련 현재 진행 중인 사항이 전혀 없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아직 대통령실이나 산자부 측으로부터 향후 사업 관련 지침을 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알래스카 LNG 사업은 알래스카 최북단에서 생산된 LNG를 1300km 떨어진 남쪽 해안으로 운송해 아시아 시장에 판매하는 내용이다. 사업 참여가 확정되면 LNG를 구매해 올 한국가스공사가 주도해야 하는데, 지난 2023년 말 기준 한국가스공사의 총부채는 46조2942억원에 부채비율은 400%를 넘는다.
주요 기관 재무구조 뒷받침도 안 될뿐더러 올해 초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 대만 정부에 직접 참여를 독촉해 온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따라 산자부와 한국가스공사 등 7명으로 이뤄진 시찰단이 미국 정부 초대에 따라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일정으로 '알래스카 지속가능한 에너지 콘퍼런스' 참석을 위해 현지를 방문했다.
방문 결과 내지 사업 참여에 따른 판단은 아직 정리 중이나, 현재로서는 연말까지 사업 참여 결정이 유보될 가능성이 크다. 사업 참여시 관련 규제를 완화해 주겠다는 미국 측 답변은 받았지만, 사업성 판단을 위한 충분한 현장 검증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연말께 전문성을 갖춘 현지 시찰단을 다시 꾸려 사업성을 정밀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알래스카 LNG 사업은 만성 LNG 부족에 에너지 안보 확보가 시급한 한국 입장에서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따라서 사업 참여도 결정되지 않았음에도 지난 반년여 간 한국가스공사나 동양철관, 세아제강 등 관련 회사 주가는 모멘텀이 생길 때마다 들썩거렸다.
하지만 알래스카는 1년 중 절반이 땅이 얼어 강관(파이프)을 설치하기 어렵고, 글로벌 환경보호론자들도 알래스카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어서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으로 유가나 천연가스 가격 동향도 불투명하다. 사업 규모가 큰 만큼 공기가 길어질수록 작은 손실도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날 수 있다.
막대한 투자 부담에 엑손모빌과 브리티시 페트롤륨 BP 등의 민간 자본은 지난 2016년 모두 철수하고 지금은 알래스카 주정부 소유 가스라인 개발공사 ADGC만 남았다. 심지어 한국가스공사도 당시 사업 참여를 검토했다가 철회한 바 있다. 더욱이 사업 승인 및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10년 가까이 소요되는데 트럼프 행정부 정책 일관성이 유지될지도 지켜봐야 한다.
에너지개발 업계 한 관계자는 "수십조원대에 전문 시추 기술이 총망라된 사업을 별도로 협상하는 게 아닌, 관세 완화 협상과 패키지를 강요받는 것도 이해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신정부의 외교력 발휘가 중요한 시점이다. 미국 측으로부터 받아낼 수 있는 것은 받아내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상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