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정희진 기자
  • 입력 2025.09.11 13:26

금감원·이화여대 국제 컨퍼런스…"기후위기, 금융안정 위협" 한목소리

이찬진(왼쪽에서 아홉번째) 금융감독원장이 이향숙(왼쪽에서 여덟번째)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및 컨퍼런스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이찬진(왼쪽에서 아홉번째) 금융감독원장이 이향숙(왼쪽에서 여덟번째)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및 컨퍼런스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감독원)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기후위기가 금융권의 핵심 리스크로 떠오르자 글로벌 금융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1일 금융감독원과 이화여자대학교는 서울 이화여대 ECC 이삼봉홀에서 'AI 기반 차세대 기후리스크 관리'를 주제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프랑스 금융감독청, HSBC·ING·MUFG 등 글로벌 금융사와 무디스·블룸버그 등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기후리스크는 곧 금융리스크'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며, 은행 포트폴리오와 금융 안정성에 미칠 잠재적 위험을 강조했다.

장 부아시노 프랑스 금융감독청 국장은 기후리스크를 전환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로 구분하며 "유럽의 감독당국은 기후변화를 중대한 리스크로 보고, 금융기관에 스트레스 테스트와 대응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기후변화가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때는 단기적 시각을 넘어 장기적 관점에서 투명하게 공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토마스 드 몽마랭 HSBC서울 최고위험관리책임자(CRO) 역시 "기후재난은 모기지·대출 포트폴리오와 고객 상환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며 "은행 수익의 핵심인 주택담보대출 포트폴리오가 흔들릴 수 있는 만큼 상환능력 저하까지 평가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루이스 김 ING서울 본부장이 AI의 기후위기 대응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정희진 기자)
루이스 김 ING서울 본부장이 AI의 기후위기 대응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정희진 기자)

해법으로는 AI 활용이 제시됐다. 야스만 모가담 무디스 아시아 본부장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산발적 데이터를 중앙화·정량화해야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UN의 AI 조기경보 사례를 소개하며, AI 기반 기후 인텔리전스가 실질적 대응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루이스 김 ING 서울 본부장은 "지속가능 전략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삼아 녹색 인프라 투자와 혁신적 금융구조를 확대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AI 활용이 기후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만큼, 전력 소모와 냉각에 필요한 물 사용 등 부작용도 함께 고려해 균형 있게 접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금감원도 기후리스크 감독 전략을 소개했다. 황재학 금융감독원 수석조사역은 "2022년부터 전환금융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고,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금융기관이 직면할 수 있는 위험을 점검해왔다"며 "앞으로도 저탄소 전환 투자와 전환금융 확대를 지원하고, AI를 활용한 지속가능 금융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