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안광석 기자
  • 입력 2025.09.16 15:12

당초 18일 분과위 열어 30일 HD현대와 수의계약 확정 계획
여권 일각 및 경쟁업체 반발 등 경쟁입찰 여론 확산에 부담

HD현대가 지난 5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서 전시한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설계 모형. (사진=안광석 기자 DB)
HD현대가 지난 5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서 전시한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설계 모형. (사진=안광석 기자 DB)

[뉴스웍스=안광석 기자] 당초 이달 내 7조8000억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주요 사업자 및 사업 방식을 정하려 했던 방위사업청이 결국 결정을 또 보류했다.

방사청 내부적으로 HD현대중공업과 수의계약 체결로 가닥이 잡힌 가운데, 여권 및 HD현대의 경쟁업체 한화그룹에서 특정업체 수혜 논란 및 군사기밀 유출 전력을 또 다시 제기하면서 부담을 느낀 것으로 여겨진다.

방위사업청은 16일 오후 출입기자단 문자공지를 통해 “KDDX 사업 추진 간 상생협력 방안에 대한 추가 검토를 위해 오는 18일 제130회 방위사업기획관리분과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통보했다.

방사청은 18일 분과위를 거친 뒤 30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주도하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어 KDDX 1번 선도함 건조사업자 및 사업방식을 결정할 방침이었다.

앞서 방사청은 지난 8월 안 장관 지시로 KDDX 기술자문위원회 회의를 열어 논의한 결과, 민간 전문가들 대다수가 기본설계와 상세설계를 동일 업체가 수행하는 수의계약 방식이 타당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수의계약은 곧 기본설계 계약을 체결한 HD현대가 KDDX 선도함 건조자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국회 국방위 및 한화그룹 내부에서 과거 HD현대의 군사기밀 유출 전력과 특정업체 수혜 몰아주기 의혹을 제기하면서 경쟁입찰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방사청 분과위는 2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19명은 관례대로 수의계약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외부위원 6명은 방위사업법 등을 근거로 경쟁입찰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방사청은 지난 3월 17일과 4월 24일에도 분과위를 열어 KDDX 사업 방식을 수의계약으로 결정하려 했으나 6명의 민간위원들의 반대로 안건을 보류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KDDX 주요 사업자 선정건 재상정이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