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4.12.03 11:32

중·소형사, 브로커리지 수익 외 새 먹거리 모색
종투사 요건 자기자본 3조…2조 넘는 곳도 없어 
"그룹·지주 차원 지원 필요…장시간 소요 전망"

여의도 구 대신증권 사옥(왼쪽)과 을지로 대신파이낸스센터. (출처=네이버지도/대신증권 제공)
여의도 구 대신증권 사옥(왼쪽)과 을지로 대신파이낸스센터. (출처=네이버지도/대신증권 제공)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대신증권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등극이 임박했다. 다른 중·소형 증권사들도 종투사 간판을 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그룹·지주 차원의 지원 부재와 금융당국의 제도 개선 등 걸림돌이 많아 빠른 시일 내 종투사 등극은 불가능할 전망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신증권은 금융당국에 종투사 지정을 신청했다. 이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대신증권은 이르면 내년 초 국내 증권사 중 10번째로 종투사 타이틀을 얻게된다.

종투사란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증권사가 기업금융(IB)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지난 2013년 도입된 제도다. 자기자본 3조원을 넘기면 금융위원회에 신청할 수 있다.

현재 종투사는 미래에셋·NH투자·삼성·한국투자·키움·메리츠·KB·신한투자·하나증권 등 총 9곳이다. 이 중 가장 최근에 종투사로 지정된 증권사는 지난 2022년 5월 타이틀을 따낸 키움증권이다. 

대신증권은 지난 3월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발행해 자기자본 2300억원을 확보했으며, 단숨에 종투사 지정 요건인 자기자본 3조원을 충족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2조1702억원이었던 대신증권의 자기자본은 1년 새 1조원 오른 3조1181억원까지 뛰어올랐다.

종투사는 국내 중소형 증권사들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증권사가 종투사에 진입하면 헤지펀드에 자금 대출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업무와 기업 신용공여 등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신용공여 한도가 100%에서 200%까지 늘어난다. 

종투사로 지정돼 있는 대형사들과 달리 기존 브로커리지 수익에 의존 중인 중소형사들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여진이 여전한 만큼, 종투사 지정으로 IB 등 새로운 수익을 발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대신증권뿐만 아니라 교보증권, 우리투자증권, 현대차증권 등도 종투사 등극이라는 목표 아래 자기자본 3조원을 넘기려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여의도 교보증권 사옥. (사진=박성민 기자)
여의도 교보증권 사옥. (사진=박성민 기자)

한때 대신증권과 종투사 등극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자기자본 11위 교보증권은 오는 2029년까지 자기자본 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8월 닻을 올린 우리투자증권 역시 2029년 안에 종투사 간판을 달겠다는 각오를 내비친 바 있다. 현대차증권도 최근 이사회에서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하며 종투사 전환 준비를 본격화했다.

다만 올해 3분기 기준 이들의 자기자본 현황을 보면 종투사 등극은 요원해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교보증권의 지난 9월 말 기준 자기자본은 1조9729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3분기(1조8689억원)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이밖에 ▲한화투자증권(1조6510억원) ▲신영증권(1조6047억원) ▲유안타증권(1조5761억원) ▲현대차증권(1조2931억원) ▲우리투자증권(1조1543억원) 등의 자기자본 역시 3조원은 커녕 아직 2조원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금융당국이 종투사 제도를 손질 중이라는 점도 이들에겐 악재다. 금융위는 이르면 이달 중 종투사 개선 방안을 발표한다. 

앞서 김병환 위원장은 "10년 전 도입된 종투사 제도 등을 통해 외형을 키운 증권사가 막상 모험자본 공급보다 부동산 PF 등 단기 고수익 사업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정부는 종투사 제도의 공과를 평가하고, 향후 필요한 제도 개선 방향을 업계와 함께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소형사들은 부동산 PF로 인한 충격을 벗어나려 종투사 등극을 노리고 있지만, 결국 부동산 PF 여파가 종투사 등극 문턱을 높이며 이들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게 된 셈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증권사의 몸집을 결정하는 자기자본은 결국 그룹차원이나 계열사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데, 현재 그럴만한 여력이 있는 곳은 보이지 않는 게 사실"이라며 "단순히 3조원만 넘는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