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2.02 14:13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편적 관세를 실행에 옮기면서 글로벌 통상 질서에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대응해 보복조치를 선언했고, 중국도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25%)와 멕시코(25%), 중국(10%)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은 오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상대국이 미국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할 경우 관세율을 더 높여 재보복하는 조항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반발헤 즉각적으로 미국 상품에 25%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캐나다는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5조원) 상당의 미국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원)규모의 제품에는 4일부터, 1250억 캐나다 달러(약 125조원) 규모의 상품은 21일 이후에 관세를 적용한다.
트뤼도 총리는 핵심 광물과 에너지 조달 및 기타 파트너십 등과 관련된 조치를 포함해 여러 비관세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소셜미디어 X를 통해 "미국과 대립을 원하지 않는다"며, "안보와 공중보건 실무협상을 제안하면서도 보복관세 조치를 포함한 플랜B를 실행하도록 경제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중국도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0% 관세부과에 대응해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대한 심각한 위반으로 제소 조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조치는 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자기 문제해결에 이롭지 않을 뿐 아니라 중미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의 잘못된 처사에 대해 중국은 WTO에 제소할 것"이라며 "상응한 반격 조치를 취해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신들도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국이 아무런 이유 없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관세부과가 북미지역의 석유시장을 교란시키고 미국 운전자들에게 휘발유 가격을 상승시키는 악영향이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 상황도 안심할 수 없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미국이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을 위반하는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주요국이 맞대응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펼쳐진다면 한국 수출이 최대 448억달러(61조7000억원)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이 경우 국내총생산(GDP)은 0.29~0.69%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관련기사
- 중국 "트럼프 관세에 단호히 반대…WTO 제소 조치"
- 캐나다, 미국산에 25% 보복 관세…"국내산 구매, 국내서 휴가"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관세…4일 시행
- 트럼프 '관세 전쟁' 포문…중국 10% 추가, 캐나다·멕시코 25%
- [코인시황]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강행에 3% '급락'…10만1000달러 '후퇴'
- [출근길 브리핑-2월 3일] '부당합병 혐의' 이재용 오늘 2심 선고·트럼프發 관세전쟁…캐·멕·中 '맞불'·이준석, 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딥시크 AI 모델에 韓 반도체 업계 파장·"무안공항 10월까지 재개장 어렵다"·입춘 한파에 곳곳 눈비
- [코인시황] 비트코인, 미국發 '관세전쟁' 후폭풍…9만6000달러 '급락'
- 최상목 "트럼프 관세, 가용수단 총동원해 대응"
- 멕시코 "미국 25% 관세부과 한 달간 유예 합의"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 '관세부과' 한달 보류…한숨 돌린 통상전쟁
- 트럼프 "中과 24시간 내 대화 예정…합의 못하면 관세 더 올라가"
- "우리 지도자가 트럼프에 승리했다"…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에 쏟아지는 호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