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4.03 08:41

[뉴스웍스=박명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한국에 대한 25% 관세를 비롯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
또 무역협정(USMCA)을 맺고 있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무역협정의 적용을 받는 품목에 대해서는 계속 무관세가 유지된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 참고 자료를 내고 이같이 설명했다.
백악관은 상호관세 미적용 대상으로 철강, 자동차 이외에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향후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품목 ▲금괴 ▲에너지 및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특정 광물 등도 거론했다.
의약품, 반도체, 목재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예고한 품목이다.
미국은 철강 및 알루미늄에 지난달 12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3일부터 시행된다.
이어 백악관은 무역협정(USMCA)을 맺고 있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USMCA의 적용을 받는 품목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USMCA가 적용되지 않는 품목에는 25%의 관세가 적용(에너지 10%)된다고 백악관은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 및 펜타닐 대응을 이유로 남부·북부 국경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USMCA를 맺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명령을 2월초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조치를 시행 직전에 한 달간 유예했으며 지난달 초에는 USMCA의 적용을 받는 품목만 25% 관세를 유예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백악관은 상호관세의 시한에 대해 "무역 적자와 근본적인 비호혜적 대우로 인한 위협이 해결되거나 완화됐다고 판단할 때까지 유지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트럼프, 가장 나쁜 무역장벽 국가로 韓 거론…상호관세 25% 결정
- 트럼프 "韓의 수입차 규제·쌀 관세는 최악 무역장벽"
- 美 25% 상호관세 부과…한덕수 "피해기업 지원대책 조속히 마련"
- [속보] 코스피,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에 2.5% '급락'…2440선 출발
- 韓 관세 부담, 美 FTA 체결국 중 가장 높아…수출 경쟁력 '초비상'
- 韓 증시 덮친 트럼프發 관세 폭탄…코스피 2%·코스닥 1.5% '급락'
- 美재무 "상호관세 거부하면 보복 악순환, 순순히 받아들이길"
- 美 상호관세 25%에 가격경쟁력↓…"대미 후속협상 주력" 관건
- 韓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1%p 높은 '26%' 적시…정부 "美 측에 확인 중"
- 뉴욕증시, 상호관세 쇼크에 '패닉 셀'…나스닥 6% 급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