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7.08 16:17

[뉴스웍스=정민서 기자]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관세 발표와 관련해 "외교부는 정부 차원에서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적극 참여해 국익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일본의 군함도(하시마섬) 관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유산위) 논의가 무산된 데 대해서는 "해당 안건이 이번 회의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 않은 점은 유감스럽다"며 "우리 대표단은 위원국들과의 협의에서 유산위가 채택한 결정을 위원회 차원에서 점검하는 것이 당연한 권리이자 원칙임을 강조했고, 많은 위원국도 이에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회의 기간 중 적절한 계기에 일본의 결정 이행 문제에 대한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힐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양자·다자 차원에서 일본이 유산위 결정과 스스로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도록 지속적으로 촉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일 간 외교적 소통 여부에 대해 이 대변인은 "양국은 제반 현안에 대해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근대 산업 시설 관련 안건은 이번 유산위 회의에서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 않아 논의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이 대변인은 끝으로 "정부는 과거사 현안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도,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협력을 이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앞서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산위 회의에서 정부는 일본이 메이지 산업 유산 관련 후속 조치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관련 사안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하려 했지만 무산됐다.
한국은 위원회 차원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일본은 해당 사안은 양자 간 문제라며 반대했고, 안건 제외를 요청하는 수정안을 제출했다. 표결 결과 일본 측 수정안이 찬성 7표, 반대 3표로 가결되면서 해당 안건은 정식 의제에서 빠지게 됐다.
군함도는 지난 2015년 일본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알리겠다고 일본 정부가 약속하면서 등재가 이뤄진 유산이다. 하지만 이후 강제노역 관련 설명은 빠지고 산업화 성과만 부각해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