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25.08.05 15:20

6일 오전 10시 소환 16개 의혹 조사…"추가 소환 가능성"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제공=대통령실)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건희 여사가 내일(6일) 특검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헌정 사상 영부인이 피의자 신분으로 최초로 포토라인에 설 것으로 보인다.

5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김 여사 관련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김 여사에게 6일 오전 10시에 서울 종로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로 출석할 것을 통보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경우 김건희특검의 소환 요구에 두 차례 불응해 체포영장이 발부됐지만, 지난 1일 영장 집행을 거부한 바 있다. 반면 김 여사 측은 공개 소환을 피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던 만큼 6일 특검에 출석할 것으로 보인다.

영부인에 대한 검찰 조사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전두환 전 대통령 배우자 이순자 여사는 2004년 남편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 수사와 관련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 배우자 권양숙 여사는 2009년 박연차 게이트와 관련해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두 조사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 만큼 조사를 마친 뒤 알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 배우자 김윤옥 여사는 2012년 내곡동 사저 부지 의혹 관련 서면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다만 전직 영부인이 공개 소환을 통해 피의자 신분으로 포토라인에 서는 것은 김 여사가 최초다. 이에 김 여사가 출석 전 포토라인에서 자신의 의혹과 관련된 입장을 직접 밝힐 지 주목된다. 김 여사 측에서는 유정화, 채명성, 최지우 변호사 등 3명이 입회할 예정이다.

김건희 특검법에는 수사대상으로 16개 의혹이 명시돼 있다. 주요 사건으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국민의힘 공천 개입 의혹(명태균 사건) ▲건진법사 전성배 씨 관련 의혹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주가 인위적 조작 등으로 이득 취득 의혹 ▲코바나컨텐츠 전시회 협찬금 뇌물성 제공 의혹 ▲대통령 집무실·관저 이전 개입 의혹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개입 의혹 ▲사법농단 연루자(임성근 등) 구명 로비 의혹 등도 포함됐다.

조사할 내용이 많은 만큼 이날 조사 이후에도 추가 소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여사 측은  "혐의별로 다른 날로 나눠 소환조사하고, 각 조사 사이에 최소 3~4일간의 휴식 일정을 보장하며, 오후 6시 전에는 조사를 종결해달라"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다. 특검은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겠다. 별도 협의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특검에 따르면 6일 김 여사 조사는 면담 없이 곧바로 진행될 예정이다. 조사 순서는 비공개이나, 부장급 검사가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2023년 4월 28일(현지시간) 보스턴 미술관을 방문해 미술관이 소장한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와 사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2023년 4월 28일(현지시간) 보스턴 미술관을 방문해 미술관이 소장한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와 사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한편 김건희특검은 김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선 특검은 지난 3일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권 전 회장이 2009년 12월부터 약 3년 동안 공범들과 함께 91명 명의의 계좌 157개를 동원해 가장·통정 매매, 고가·허위 매수 등 시세조종 행위를 벌인 사건이다. 특검은 김 여사가 주자조작 사실을 인지하고 자금을 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10월 17일 김 여사의 계좌가 주가조작에 사용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김 여사가 권 전 회장을 믿고 계좌를 맡겼을 뿐 시세조종을 인지하거나 가담한 정황은 없다고 판단해 불기소 처분을 내린 바 있다. 다만 서울고검은 사건을 재수사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주가조작 사실을 인지한 통화내역을 확보했다.

건진법사 의혹과 관련해서는 윤영호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이 구속됐다. 윤 씨는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고가의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백 등을 전달하며 부적절한 청탁을 시도한 의혹를 받는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의 경우 관련자인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과 이응근 전 대표가 지난 1일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구속기소됐다. 삼부토건 측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주최한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 참석을 계기로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각종 업무협약을 맺는 등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운 후, 보유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익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특검은 전날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에 갑자기 방문하게 된 경위 등을 묻기 위해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을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특히 김 여사의 측근으로 도이치모터스 주식 계좌 관리인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삼부토건 측과 결탁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포럼 개최 8일 전 온라인 단체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확인된 바 있다.

이 전 대표의 경우 2022년 도이치 주가조작 1차 주포인 이모 씨에게 김 여사나 VIP를 통해 집행유예를 받아주겠다며 8000여 만원을 챙긴 혐의도 받는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제 21대 대통령 선거일인 지난 6월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제 21대 대통령 선거일인 지난 6월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뉴스1)

윤 전 대통령과 같이 연루된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서는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명태균 씨를 불러 조사했다. 전날에는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을 소환해 조사했다.

명 씨는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당시 윤석열 후보에게 총 81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해준 혐의를 받는다. 이에 대한 대가로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6월 재·보궐선거에서 김 전 의원이 공천받을 수 있도록 힘써줬다는 것이 이른바 '공천개입 의혹'이다.

특검은 지난달 27일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을 소환해 조사했는데, 윤 의원은 "김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김 여사의 '집사'로 불리던 김예성 씨가 렌터카 관련 회사(IMS모빌리티)를 설립하고, 대기업들로부터 184억원을 부정하게 투자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투자했던 기업가들을 소환해 조사했다. 다만 김예성 씨의 경우 해외로 출국해 특검이 신병확보를 하지 못한 상황이다.

또 김 여사 모친 최은순 씨가 설립하고 오빠인 김진우 씨가 대표로 있는 가족회사 이에스아이엔디(ESI&D)를 통한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과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과정에 김 여사와 그 일가가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관련자 소환 및 압수수색 등을 통해 들여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