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9.29 14:55
가상자산거래소 CEO 첫 대면 자리…금감원장, 소비자 보호 당부 전망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금융감독원이 빗썸을 가상자산거래소 CEO 간담회 참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첫 대면 자리에서의 '배제'라는 점에서 이목이 쏠린다.
29일 금융업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내일(30일) 예정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가상자산거래소 CEO 간담회에서 빗썸을 참석 대상에서 배제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배제하는 것으로 결정했지만 마지막까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금융감독원장이 주요 가상자산거래소 대표들과 처음 마주하는 자리다. 업비트(오경석)·코인원(이성현)·코빗(오세진)·고팍스(조영중)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지만, 빗썸(이재원)만 불참하면서 이례적인 구도가 형성됐다.
앞서 빗썸은 지난 19일 금감원 행정지도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금감원은 가상자산 거래소들에게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신규 영업을 중단하라고 요청했지만 빗썸만 이를 이행하지 않고 서비스를 이어갔다.
이인영 의원실(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빗썸의 랜딩플러스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한 대출 서비스로, 대여 규모 2조4983억원, 담보금액 10조2708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담보 코인 가치가 일정 기준 아래로 떨어질 경우 자동청산(강제매도)으로 투자자 손실이 확정되는 구조가 문제다.
6월에 574건(25억원)이 청산됐으며, 7월 한 달에만 1만7238건, 792억원이 청산됐다. 8월에도 1603건(188억원)이 청산됐지만 영업은 지속됐다.
금감원은 랜딩플러스의 높은 레버리지와 담보비율 문제를 지적하며 행정지도를 내렸으나, 법적 강제력이 없어 빗썸이 이를 사실상 무시하자 갈등이 심화됐다.
최근 불거진 오더북 공유 논란은 불신을 더욱 키웠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지난 22일 빗썸의 이재원 대표를 소환해 호주 거래소 스텔라와의 오더북 공유 사안에 대해 조사했다. 빗썸은 테더(USDT)마켓 개설하며 스텔라와 매수·매도 주문을 연동한다고 밝혔으나, 이는 국내 고객 주문 정보가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어 규제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금감원은 간담회에서 소비자 보호를 핵심 의제로 삼아 업계와 의견을 교환할 방침이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된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의 투자자 보호, 내부통제 강화, 시스템 보안 등 투자자 피해와 직결되는 사안들이 논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같은 날 낮 12시에는 가상자산사업자 실태평가 결과가 발표된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주기적으로 나오는 시장 현황 데이터로, 투자자 규모·총 예치금·이용자 수 추이 등을 다룬 조사표"라며 "실태평가 결과가 간담회 발언으로 직접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행정지도에도 배율·한도 낮춰가며 코인대여 영업한 빗썸…결국 '경고'
- 2위 거래소 빗썸, 간밤 100분 '먹통'…"피해 전액 보상"
- 트럼프 일가 가상화폐 'WLFI’ 첫 거래…지분 가치 7조
- 파월에 환호했다가 '현타'…비트코인, 11만달러 반납
- 빗썸, 상반기 매출 전년比 35% 증가한 3292억…성장세 유지
- 가상자산시장 상반기 '둔화'…이용자 늘었지만 '거래·예치금' 줄어
- 이찬진 금감원장, 빗썸 빠진 가상자산업권 상견례…"소비자보호·IT 관리 철저" 당부
- 이찬진 금감원장 "소비자보호 중심으로 조직 전면 재설계"
- [단독] 빗썸, 윤민섭 교수 영입…금융당국 협력 강화 승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