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일영 기자
  • 입력 2025.11.18 13:48

회추위 구성 '아직'…금융당국 '인사 지연'에 내년 초에 선임될 듯
커진 몸집 비해 목소리 약한 신기사…"결국 '官 출신'이 해결해야"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사진제공=여신금융협회)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사진제공=여신금융협회)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의 공식 임기가 지난 10월 5일 만료됐음에도 새로운 회장 인선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 구성조차 확정되지 않아 선임도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18일 여전업계에 따르면 여신협회는 정완규 회장이 최근 임기 만료 후에도 공백을 메우고 있다. 회추위가 구성되면 후보자를 공모하고, 후보자 면접과 최종 후보자 추천 및 회원사 투표 절차를 거쳐 차기 회장을 선출하는데 통상적으로 1~2개월 정도 소요된다.

인선 절차가 지연된 배경은 금융당국의 연말 인사 지연이다. 여신협회는 금융위원회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통상적으로 금융위 국장급·1급 인사가 마무리돼야 회추위 구성 등 후속조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재 금융위의 연말 국장급 인사 방침과 1급 인사가 마무리된 만큼 여신협회장 선거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찬진(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시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금감원장-여전업권 CEO 간담회'에서 여전사 CEO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이찬진(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시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금감원장-여전업권 CEO 간담회'에서 여전사 CEO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생산적 금융 기조 속에 여신협회장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신기술금융회사(신기사)가 2022년 말 78개사에서 현재 124개사로 급증했으며, 여전법 개정으로 신기사 설립 자본금 규제 역시 20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완화된 만큼, 앞으로 여신협회 내 신기술금융업권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다만, 연대보증 폐지와 벤처펀드 출자 시 위험 가중치 등으로 자본적정성 규제와 투자 리스크 관리 부담이 신기사의 위축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신기술금융업권에서는 차기 여신협회장이 생산적 금융을 확대하기 위한 규제 완화 등 정책 소통 창구를 만들어주기를 바라고 있다.

문제는 여신협회 이사회 구조다. 여신협회장 투표권을 가진 이사회는 카드·캐피탈사 위주로 구성됐다. 회추위를 이끄는 이사회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신기사는 IBK캐피탈 한 곳뿐이다.

여전업계 관계자는 "여신협회는 여러 업권들이 모여 이해관계 조율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신기사의 수는 많아도 분담 회비 규모가 카드·캐피탈사에 비해 적기 때문에 이사회에서 목소리를 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위에서 여신업권을 담당하는 실무자 수가 적어 신기사의 업무 활성화를 위한 현안 해결이 늦어지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여신협회는 최근 신기술금융업권 요구를 반영한 책무구조도를 강화하고, 금융당국과 신기술금융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제도 개편 방향을 지속적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여신협회장이 직접 문제를 해결할 권한은 없지만 현안을 파악하고 금융당국에 논리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통 능력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자연스럽게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 출신 인사들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배경이다.

결국 신기사 성장과 카드·캐피탈의 건전성 위기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해  당국과의 소통에 강점을 보유한 '관 출신' 인사의 회장 선임을 바라고 있는 모습이다.

여전업계 관계자는 "여신협회장은 업계 목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이지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는 않다"며 "업계 현안을 명확히 파악하고 여론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정책적 요구를 논리적으로 당국에 전달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