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3.01.19 15:40
"우리금융 성장 걸림돌은 정부의 경영간섭" 과거 발언 주목
우리사주조합 최대주주 권리 통해 외부 낙하산 인사 저지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 후보군이 어느 정도 압축된 가운데 내부에선 외부 인사에 대한 반발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은행 노동조합은 19일 성명서를 통해 외부인사 중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에 대한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임 위원장 본인이 도전 의사를 밝히진 않았지만 평판조회 대상에 들어간 것도 우리은행 노조에겐 관치란 것이다. 특히 우리은행 노조는 임 위원장의 과거 발언을 꺼내며 후보 사퇴 압박에 나섰다.
우리은행 노조는 "임 위원장은 과거 정부 모피아 출신으로 우리은행 민영화 때 금융위원장을 지내며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발표하고 당시 우리은행 민영화 핵심 키워드는 자율경영임을 주장했다"며 "우리은행이 2001년 공적자금 투입 이후 성장의 큰 걸림돌로 '정부의 경영간섭'을 꼽았던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임 위원장은 2016년 "민영화된 우리은행의 핵심은 지배구조다.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새 모델을 제시하겠다"며 우리은행장 인사권을 정부가 좌지우지하던 시절을 비판한 바 있다.
우리은행 노조는 "우리금융은 국민의 성원과 전 임직원이 혼신의 노력으로 갈망하던 완전민영화를 23년만에 성공했다"며 "모피아 인사들이 우리금융 수장 자리를 노린다면 스스로 관치라는 것을 입증하는 행태며 민간 금융회사 수장 자리를 마치 정권 교체의 전리품처럼 나누려는 구태의연하고 추악한 시도"라고 비판했다.
우리은행 노조는 우리사주조합을 통해 10% 가까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지분율만 놓고 따지면 최대주주에 해당해 이사회 진입도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정부가 민영화 과정에서 과점주주 형태로 자율경영을 보장한 만큼 그동안 경영에 참여하지 않았다.
우리은행 노조는 "우리는 외부낙하산이 얼마나 조직발전에 위해가 되는지 뼈저리게 경험한 바 있으며 더 이상 전문성과 경험이 결여된 외부인사들의 보금자리로 추락시킬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라며 "조합은 최대주주인 직원들을 대표해 관치금융 합리화에 맞설 것이며 노동이사제 도입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조직의 안정을 통한 직원들의 생존권 보호를 위해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