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6.13 12:00

[뉴스웍스=백종훈 기자] 금융당국이 2027년 시행 예정인 'IFRS18'의 도입 연착륙을 위해 전문가들을 불러 모았다.
금융위원회는 회의를 열어 IFRS18 실무 작업반을 유관기관과 함께 구성 및 운영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을 비롯해 한국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공인회계사회, 자본시장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재무제표 표시와 공시 개선'을 골자로 한 IFRS18을 지난 4월 9일 확정하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IFRS18은 손익계산서 내에 영업손익 등 범주별 중간합계(Subtotal)를 신설하고 영업손익을 투자나 재무 등의 범주가 아닌 잔여(Residual) 개념의 손익으로 측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간 IFRS에서는 영업손익 등 손익 계산서의 중간합계에 대한 표시나 측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율하지 않아 국내에서는 영업손익을 추가로 표시하도록 의무화해 왔다.
이에 정부는 IFRS18의 기본 원칙과 범위 내에서 현 우리 방식을 사실상 그대로 유지 및 적용할 수 있는 별도 표시 등을 통해 IFRS18 도입 연착륙을 유도할 방침이다.
우선 우리나라의 현재 영업손익 측정 방식을 최대한 유지한 중간합계를 IFRS18에 따른 영업손익 산출 과정에서 별도로 표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실무상 혼란이나 애로사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에 대한 안내나 홍보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동시에 IFRS18 적용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회사별·산업별 영향도 분석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실무작업반 등을 통한 의견수렴을 거쳐 우리 상황에 맞는 수정 도입 방안을 반영한 'K-IFRS 제1118호'를 마련할 것"이라며 "내년 중 개정에 돌입해 2027년부터 전면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도 시행 초기 기업들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적용 과정에서 회계처리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고의가 아닌 이상 비조치하는 등 일정 기간 계도 중심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