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4.06.19 18:08

[뉴스웍스=김다혜 기자]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로 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13년 만에 경영실태평가에 나선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달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을 상대로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를 기준으로 경영실태평가 점검을 실시한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융당국이 진행하는 경영실태평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저축은행 업계는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8.8%로 지난해 말(6.55%)보다 2.25%포인트 상승했다. 또 다른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도 상위 10개 저축은행을 기준으로 4조9040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말(3조3322억원) 대비 47.2% 급등했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자 공격적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확대해 온 저축은행들이 원금회수와 조달금리 상승으로 인한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금감원이 분기별 저축은행 경영지표를 토대로 종합적인 건전성 평가에 나선 것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이날 은행장들과의 간담회 이후 기자들에게 "연체율 관리가 미흡해 부실채권 정리 등을 통한 건전성 강화를 위해 저축은행들의 경영상태를 점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에 대한 충격요인이 없다는 확신이 있어 다른 금융 업권으로의 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M&A 활성화를 통한 저축은행 구조 조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월 동일 대주주가 비수도권 저축은행을 네 개까지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데 이어 수도권과 지방 저축은행 간의 합병을 허용하는 M&A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평가에 따라 저축은행의 인력과 운영이 축소되거나 부실자산 처분, 자회사 정리, 임원진 교체, 영업정지 등의 절차를 밟을 수 있는 만큼 저축은행 업계는 긴장하는 분위기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금감원은 삼화저축은행 부실 기관 지정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업체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저축은행 16곳이 영업을 정지됐고 5년간 30여 개의 저축은행이 문을 닫은 바 있다.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사들 역시 연체율과 같은 수치가 안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당국의 엄격한 관리를 받으며 이익잉여금과 충당금 등 손실 능력 확충을 이어온 만큼 버틸 수 있는 여력이 있다"며 "업권 내 1위 업체와 영세 사업자의 자산규모 차이가 몇 조 원에 달하는 상황이지만, 영세한 저축은행의 부실 우려가 대형사까지 옮겨붙어 평가의 대상과 기준이 어디로 튈지 몰라 업계 전체가 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