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4.09.12 15:08

"새 증권신고서 많이 바뀔 것…생산적 업무 추진 노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박성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박성민 기자)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당국 제재 여파로 합병에 제동이 걸린 두산그룹에 대해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된 상태에서 (두산 사업구조 개편이) 마무리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12일 이 원장은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관에서 열린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열린 토론'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두산그룹은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의 합병을 추진했다. 그러나 소액주주 이익 침해 논란이 커지는 등 논란이 불거졌다. 

금감원은 두산이 제출한 두 차례 합병 관련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하는 등 브레이크를 걸었다. 당시 이 원장은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 제한 없이 정정 요구를 하겠다"며 두산을 향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현재 두산은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 합병을 철회하고, 사업 구조 개편 방안을 수정 중에 있다. 

다만 두산에너빌리티를 기존 사업회사와 두산밥캣 지분을 소유한 신설 투자회사로 인적 분할하고, 이 분할신설법인을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안은 그대로 추진한다. 이 때문에 관련 증권신고서는 다시 금감원에 제출해야 한다.

이 원장은 "사업의 모양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새로 낼 증권신고서는 좀 많이 바뀐 형태로 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며 "그렇게 방향성을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또한 이 원장은 현장에서의 소통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그전에는 페이퍼 중심으로 소통했다면, 앞으로는 기업이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문제의식을 두산과 소통해서 생산적으로 업무가 추진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원장은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부당 대출과 관련해 "이 자리에서 말하기 적절치 않다"고 짧게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