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3.26 10:45
"ABSTB 변제 계획 믿기 어려워"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를 정면 비판했다.
26일 이 원장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를 믿을 수 없는 입장"이라며 "4000억원 규모의 유동화 채권(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의 원금을 보장한다는 것은 거짓말 같다"며 강도 높은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 원장은 "변제를 한다면 지금 한다는 것인지, 5년 후인지, 10년 후인지"라며 MBK가 구체적인 시점을 언급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빠른 시일 내 원금을 보장할 유동성이 있었으면 회생 신청도 안 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생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채권자들끼리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싸우게 되는데, 본인들이 핑크빛 약속을 날린다고 하더라도 고통 분담 없이는 사실 변제가 안 되는 것"이라며 "언 발에 오줌 누기로, 심하게 이야기하면 솔직히 말해서 거짓말"이라고 꼬집었다.

이 원장은 "MBK파트너스가 당장 곤궁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공수표를 날리고 있다"며 "기관장 이런 분들은 다 회계사·변호사 몇십 년 동안 하신 분들인데 시장에서 오해할 수 있는 말로 툭툭 던진다는 건 다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 사태는 경영 실패나 과도한 차입, 너무 빠른 이익 회수 등으로 인해 벌어진 일이기 때문에 본인들(MBK)이 고통 분담을 해야 한다"며 "채권자들에게 무리한 고통 분담을 요구하는 건 부적절하고, 그런 상황이라면 검사 결과 등을 금융위원회와 협의해서 회생법원에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원장은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주목받은 뒤 주가조작 의혹이 불거진 삼부토건과 관련해 "가급적 4월 중에 처리하려고 욕심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금감원 차원에서 사건을 정리하게 되면 이후 증권선물위원회와 조정하고, 패스트트랙 넘어가면 검찰과도 협의하는데, 아직 말씀을 드릴 수 없지만 그런 절차를 하고 있거나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원장은 지난 18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삼부토건 조사 대상자에 김건희 여사나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김 여사나 원 장관, 이종호 씨 등과 관련된 계좌나 연관성 분석을 하는 것은 맞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직접 허위정보를 유포한 것으로 의심되거나 본인 계좌로 이익을 본 것은 없다는 의미에서 단정적으로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신장식 "ABSTB 상거래채권 취급 환영…김병주 사재출연 구체화해야"
- 현대카드 본사 찾은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카드 매출채권 소비자 반환해달라" 촉구
-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4600억 변제"…개인투자자 피해 줄어들 전망
- MBK 본사 찾은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김병주와 '장기전' 돌입하나
- 이복현 금감원장 "MBK 파트너스 검사 오늘 착수"
- 김병주 MBK 회장 '사재 출연' 비난 쇄도…재계 사례 참고했나
- 홈플러스 ABSTB 피해자, 정치권 지원 요청…野 "기업회생 전 채권발행 부적절"
-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MBK 김병주, 사재 털어 전액 반환해야"
- [속보] 이복현 금감원장 사의표명…"금융위원장에 입장 밝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