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일영 기자
  • 입력 2025.03.21 16:34

피해자 측 "개인투자자 전단채 우선 변제 발표에도 아직 회생법원 승인 절차 남아"
카드업계 "전단채의 상거래채권 분류 논의돼 소비자 원금상환 절차 속도 붙을 것"

홈플러스 물품 구매 전단채 피해자 단체가 21일 현대카드 본사 사옥 앞에서 '현대카드 등 소비자 매출채권 상계처리 후 피해 원금반환 요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홈플러스 물품 구매 전단채 피해자 단체가 21일 현대카드 본사 사옥 앞에서 '현대카드 등 소비자 매출채권 상계처리 후 피해 원금반환 요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전단채, ABSTB) 투자자들이 원금반환을 촉구하며, 이번 사태에 대한 카드사의 책임을 요구하고 나섰다.

홈플러스 물품 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서울 여의도 현대카드 본사 앞에서 '현대카드 등 소비자 매출채권 상계처리 후 피해 원금반환 요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ABSTB 투자자들의 원금 변제 요구 시위는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서 이들은 금융감독원, 홈플러스 강서점(본사), MBK파트너스 본사 앞에서 ABSTB의 상거래 채권 인정과 김병주 MBK 회장의 사재 출연 공식화를 주장한 바 있다.

◆피해자 비대위 "홈플 상거래채권 변제 방침…회생법원 승인은 미지수"

기자회견에 앞서 홈플러스는 "회생법원에서 채권자들과 만나 선의의 투자자 피해 방지를 위해 매입채무 유동화를 '상거래채권'으로 취급해 전액 변제하겠다"고 발표했다.

매입채무 유동화는 신용카드 사용 대금을 기초 자산으로 단기 사채 등을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홈플러스가 기업용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카드사에서 증권사 SPC(특수목적회사)에 카드 대금을 매각하고, 증권사가 카드 매출 채권을 바탕으로 유동화증권을 투자자에게 발행·유통하는 구조다.

금융권에 따르면 홈플러스 유동화증권(전단채)은 기능적 측면에서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된다. 하지만 증권사가 해당 전단채를 소비자들에게 '금융채권'의 형식으로 판매했기 때문에 금융상품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신속한 원금 회수를 위해 홈플러스 전단채를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기업회생 절차에서는 '금융채권'의 상환이 유예되어 피해 보상이 어렵기 때문이다.

피해자 단체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상임대표는 "홈플러스의 매입채무 유동화 관련 채권의 상거래채권 취급은 고무적"이라며 "하지만 아직 회생법원의 최종 승인 절차가 남아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의환 피해자 비대위 상황실장 역시 "아직 방심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다음 주 홈플러스 관계자들과 만나 홈플러스의 개인투자자 우선 변제 계획의 진위를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의환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상황실장이 21일 현대카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이의환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상황실장이 21일 현대카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소비자 카드 매출 상계처리 고려하지 않아"

피해자 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현대카드 측에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와의 간담회를 요청했다. 회생법원에 홈플러스 전단채의 상거래채권 분류를 촉구하는 의견서 제출과 함께 '소비자 카드 매출채권과 홈플러스 카드 대금' 간에 상계처리를 요구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홈플러스가 4618억원 규모의 매입채무 유동화 잔액을 상거래채권으로 회생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간담회를 취소하고 한 발 물러섰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는 증권사의 전단채 위탁 판매 과정을 파악할 수 없어 홈플러스 전단채의 '금융채권' 분류를 미리 알지 못했다"며 "해당 전단채가 상거래를 전제로 한 것인 만큼 피해자 요구에 맞게 회생법원에 '상거래채권 주장' 의견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대부분의 카드사가 전단채의 상거래채권 분류 의견서를 제출한 가운데 몇몇 카드사는 제출을 거부했다"며 "MBK 파트너스 자본의 눈치만 보는 카드사가 있다"고 성토했다.

다만, 소비자 카드 매출의 상계처리에 관해서는 카드업계와 피해자 단체의 입장이 갈렸다.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는 줄곧 카드사가 소비자 카드 매출과 홈플러스 물품 대금 간 상계 처리로 신속한 개인투자자 원금반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홈플러스 전단채의 우선 변제 방안이 회생법원에서 논의된 만큼 소비자 카드 매출의 상계 처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피해자 단체의 상계처리 요구는 홈플러스 회생절차의 박차를 가하기 위한 협상 카드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