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4.09 18:00

미래에셋, 레버리지·인버스 보수 인하 재검토…삼성운용 "계획 없어"
이복현, 10일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경쟁 과열 자제 당부할 듯 

금융당국이 과도한 수수료 경쟁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자, 자산운용사들 간 불 붙었던 상장지수펀드(ETF) 보수 인하 경쟁이 차갑게 식었다. (그래픽=박성민 기자)
금융당국이 과도한 수수료 경쟁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자, 자산운용사들 간 불 붙었던 상장지수펀드(ETF) 보수 인하 경쟁이 차갑게 식었다. (그래픽=박성민 기자)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자산운용사들 사이 불 붙었던 상장지수펀드(ETF) 보수 인하 경쟁이 차갑게 식었다. 금융당국이 과도한 수수료 경쟁에 대해 경고장을 내민 여파로 보인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레버리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 'TIGER 인버스' 등 국내 지수를 기반으로 한 ETF의 운용보수 인하 계획을 검토 중이다.

앞서 시장에서는 업계 점유율 2위인 미래에셋운용이 해당 상품들에 대한 수수료 인하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국내 증시가 큰 변동성을 보이며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자, 이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수요를 노린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결정이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을 추월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라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이에 대해 삼성운용은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보수 인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며 수수료 경쟁에서 한발 물러선 입장을 보였다. 

(사진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
(사진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

지난 2월만 하더라도 자산운용사들 사이에서는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보수 전쟁이 유행처럼 번졌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 ETF인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2종의 총보수를 연 0.0068%로 인하했다. 이에 삼성운용도 'KODEX 미국 S&P500 ETF'와 'KODEX 미국나스닥100 ETF'의 수수료를 0.0099%에서 0.0062%로 다시 한번 낮추며 맞불을 놨다.

업계 점유율 3위 자리를 한국투자신탁운용에게 내준 KB자산운용도 미국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RISE ETF' 3종의 보수를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내리며 수수료 경쟁에 참전했다. 

그러나 최근 당국이 운용사 간 과도한 '운용보수 경쟁'에 대해 경고장을 던지면서 이러한 흐름이 한풀 꺾인 모습이다. 

지난 1일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시장을 선도해야 할 대형 운용사들이 운용 역량이나 수익률 경쟁보다 시장 점유율 확보에만 집중해 보수 인하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점은 심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함 부원장은 "일부 경쟁 상품을 타겟팅한 노이즈 마케팅이 반복될 시 관련 운용사에 대해 보수 결정 체계 및 펀드 간 이해, 상품 관리 실태 전반에 대해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금감원은 자산운용사 간 수수료 경쟁이 시작된 지난 2월부터 삼성운용, 미래에셋운용, KB자산운용 등 업계 상위 운용사에 운용 보수와 관련된 자료 제출을 요구한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박성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박성민 기자)

한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내일(10일) 오전 금융투자협회에서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운용사 간 수수료 인하, 유사 상품 출시 등 과도한 점유율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다시 한번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원장은 업계 내 경쟁에 불이 붙은 ETF 수수료 인하와 관련해 "여기서 깎고 저기서 올린다면 상당한 이해 충돌이 있기 때문에 실태를 점검한 후 검사나 제도 개선안을 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