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성민 기자
  • 입력 2025.05.08 06:11

"고관세, 인플레이션·경제둔화·실업률 증가 초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출처=미국 연준 홈페이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출처=미국 연준 홈페이지)

[뉴스웍스=박성민 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와 관련해 "연준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7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이틀 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세 차례 연속 동결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파월은 "연준은 미국 국민의 이익을 위해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을 촉진하는 데 모든 정책 수단을 쓸 것"이라며 "경제지표와 전망, 위험 균형이 정책 결정에서 유일하게 고려되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대규모 관세가 지속된다면,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 경제성장 둔화, 실업률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며 "관세가 현 수준에 머물 경우 연준의 내년도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파월은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에 대해서도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관세정책이 어떻게 해결될지, 고용,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더 알기 전까지는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관세 및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명확해지길 기다리는 동안 우리의 정책 금리가 좋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관세에 대한 추가적인 명확성이 생기기를 기다리는 동안 금리를 현 수준에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이날 연준은 이틀 간의 FOMC 회의를 마치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동결했다.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자, 지난 1월 FOMC 이후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유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