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진형 기자
- 입력 2025.05.14 15:10

[뉴스웍스=차진형 기자] 현대해상도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장기보험, 자동차보험 등 주요 수익원이 감소했지만 보험계약마진 잔액과 지급여력비율은 상승해 위안을 삼았다.
현대해상은 14일 실적발표를 통해 203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57.4%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 적자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3개월만에 적자 늪에서 탈출하며 빠른 회복력을 보여줬다.
장기보험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2% 감소한 1143억원을 기록했다. 독감 재유행 등 유행성 호흡계 질환 손해액이 증가한 탓이다.
자동차보험도 보험료 인하와 원가 요인 인상 영향으로 손해율이 악화되면서 157억원의 이익을 거두는 데 그쳤다. 일반보험 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2.1% 감소한 459억원을 기록했다.
현대해상은 올해 철저한 관리에 들어갈 방침이다. 지난해 4분기 적자를 기록할 때 예실차가 악화되면서 보험이익 부진이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1분기 CSM 잔액은 92조1078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10.4%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도 159.4%로 2.4% 포인트 상승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장기 신계약 CSM 성장과 함께 수익성 높은 상품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개선 중"이라며 "자본성증권 발행 검토 등 지급여력비율 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며 금융당국의 자본건전성 관리 방향에 맞춰 경영 방향도 수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환급 적고 보험료 오르고"…무·저해지보험료 최대 33%↑
- 보험사 '회계제도發' 위기 대응…관 출신 사외이사 대거 영입
- '경영 경고등' 켜진 기본자본 50% 미만 보험사…자본관리 고심 커져
- 현대해상, 데이터 기반 자동심사 '2Q-PASS' 개발
- 손보사 1분기 실적 '흔들'…회계제도 논란에 전망도 '안갯속'
- 현대하임자산운용 신임 대표에 '정몽윤 회장 장녀' 정정이 선임
- '70세 동갑내기' 정몽윤-현대해상…"다가올 100년 준비"
- 현대해상, 신용평가 등급 '부정적' 하향…수익성·건전성↓
- 현대해상, 상반기 당기순이익 4510억…전년比 4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