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25.07.12 09:30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에 대한 각종 의혹을 규명할 3대 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이 저마다 속도를 내며,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3대 특검을 임명한 지 한 달 만으로, 윤 전 대통령은 142일 만에 서울구치소에 다시 수감됐다. 또 김 여사는 아크로비스타 자택 압수수색을 지켜보는 처지가 됐다.

가장 속도를 빨리 내는 것은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조은석 특별검사)이다.

지난달 18일 수사 개시와 맞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시작으로 주요 내란 피고인들을 잇달아 추가 구속한 데 이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하며 존재감을 강하게 드러냈다.

체포영장은 기각됐지만 곧바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두 차례 소환 조사를 이어가며 혐의를 다졌고, 결국 수사 개시 22일 만인 지난 10일 윤 전 대통령의 재구속을 끌어냈다. 

이는 다른 특검과 달리 특검보 인선보다 파견 인력을 통해 수사에 돌입하고 속도전에 나선 결과다. 이른바 '특수통 검사' 출신 조 특검의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구속에 따른 추가 조사에도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당초 11일 재구속 후 첫 소환 조사에 임할 예정이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건강상 이유를 들어 불응한 상태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불출석 사유가 합당하지 않을  강제 구인에 나선다는 방침으로 '소환 조사'가 원칙이라고 강조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제공=대통령실)

3대 특검 중 수사 대상이 16개로 가장 많은 김건희 특검팀(민중기 특별검사)은 김 여사의 각종 의혹에 대해 주변 인물들을 연이어 소환하고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혐의 다지기'를 서두르고 있다. 

특검팀은 사무실 확보, 수사팀 파견과 사건 이첩 등 법상 최장 준비 기간인 20일을 모두 채우면서 내실을 다진 뒤 지난 2일 현판식을 열고 수사를 개시했다.

특검팀은 수사 이튿날인 3일 김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 삼부토건 본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며 3대 특검 중 첫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이른바 김 여사 4대 의혹으로 꼽히는 주가 조작·공천 개입·통일교 원정도박·양평 고속도로 의혹에 대해 동시 수사에 착수하면서, 김 여사 주변인들에 대한 강제수사와 소환 조사를 병행하고 있다. 

최근엔 김 여사 일가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에 대한 조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등 정치권을 상대로 한 관계자 소환 조사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특검팀은 각종 의혹 관계자에 대한 강제수사, 소환 조사에 이어 최종적으로 김 여사를 소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병대원 순직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검도 김건희 특검과 마찬가지로 특검보 임명, 사무실 확보, 파견 인력 확보에 나선 뒤 지난 2일 현판식을 열고 정식 수사를 개시했다.

수사 개시와 함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소환 조사했다. 이후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의 항명 혐의 2심 재판에 대해 항소 취하를 결정한 뒤 본격 강제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검팀은 'VIP(윤 전 대통령) 격노설'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소환해 수사 외압과 구명 로비 의혹 등을 조사한 데 이어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소환 조사했다.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에 있는 윤 전 대통령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한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국방부 압수수색 과정에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사용한 비화폰도 확보했다. 윤 전 대통령은 해병대원 순직 사건 초동수사 결과가 경찰로 이첩된 직후 직접 개인 휴대전화로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에 따라 비화폰에서도 이러한 흔적이 드러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특검팀은 군 관계자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한 뒤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에 대한 조사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