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08.19 15:00

[뉴스웍스=김아현 기자]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금융권에서도 자금중개의 본질적 기능과 리스크 관리라는 내재적 특성을 활용해 중대재해 근절이라는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권 부위원장은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중대재해 관련 금융부문 대응 간담회'에서 "이제 우리 사회도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노력을 비용으로 보지 않고, 회복 불가능한 손실을 절감하는 투자로 인식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중대재해에 강력한 제재 조치를 주문한 가운데 금융권에서도 관련 대책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방안에 관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 부위원장은 중대재해 근절과 관련한 금융부문 대응방향으로 ▲여신 심사체계 개선 ▲중대재해 발생 즉시 공시 의무 ▲ESG평가 및 스튜어트십 코드에 중대재해 반영 등을 언급했다.
권 부위원장은 "중대재해 예방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잘하는 기업에 대해 대출 확대·금리 축소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패널티·인센티브' 양방향 대응 원칙을 제시했다.
그는 "중대재해 발생이 대출규모와 금리, 만기연장 등 여신상의 불이익이 되도록 금융권 심사체계를 개선하고, 중대재해 발생 즉시 기업이 공시하도록 해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ESG 평가기관이 중대재해 사실을 충분히 감안하도록 가이던스를 개정하고, 연기금, 자산운용사와 같은 기관투자자가 중대재해에 대해서도 수탁자의 투자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스튜어드십 코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여신·정책금융·자본시장 등 전반에 걸쳐 해결방안을 모색했다. 금융부문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사회·경제적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현장의견을 공유했다.
여신 부문에서는 신규 대출 여신 심사 시 금리 및 한도 등에 중대재해 관련 리스크를 반영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시설개선 자금 등을 지원하고, 우수 인증 및 높은 평가등급 기업에 금리·한도를 우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정책금융 분야에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심사에서 안전도 평가에 중대재해 내용을 반영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거래소 측은 적시에 투자자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공시체계를 구축하고, ESG 주가지수 활성화를 위한 개선·홍보 활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부문의 다각적 노력이 중대재해 예방 문화를 안착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