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일영 기자
  • 입력 2025.09.18 17:09

롯데카드, 여전법상 CEO 업무정지 '중징계' 가능…조좌진 '책임론' 부상
조좌진 "정보 보안 투자 감축은 사실 아니야…고객 보호 총력 다할 것"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18일 서울시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정보보안 운영 현황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18일 서울시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18일 서울시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뉴스웍스=손일영 기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번 해킹 사고는 단순히 정보 보안의 문제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롯데카드의 메카니즘을 구축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18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연말까지 인적 쇄신과 조직 개편을 통해 기능 중심으로 구성된 조직을 고객 보호 중심으로 쇄신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말 대표 사임 가능성도 시사했다. 조 대표는 "인적 쇄신 방안에는 본인을 포함한 임원진의 사임 여부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조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 29일까지이지만, 조기 사임 가능성이 관측되는 대목이다.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태의 진상 규명이 완료되면 롯데카드에 대한 최고 수위의 제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신용카드 업자가 개인정보 유출 등 소비자 보호에 미흡할 경우 최대 6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특히 CEO 등 임직원에 대해서는 ▲주의 ▲주의적 경고 ▲문책 경고 ▲직무 정지 ▲해임 권고 등 5가지의 제재가 내려질 수 있다. 일각에서는 롯데카드에 중징계 처분이 내려진다면 문책 경고 이상의 강력 제재가 확정될 수 있다고 관측한다. 조 대표의 연임 또는 임기 수행에 제동이 걸릴 수 있는 대목이다. 

다만 조 대표는 "현시점에서는 금융당국 제재를 생각할 상황도 아니고 생각해 본 적도 없다"며 "피해 수습이 최우선 아니겠냐"고 강조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18일 서울시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정보보안 운영 현황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18일 서울시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정보보안 운영 현황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손일영 기자)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MBK가 롯데카드를 인수한 2019년부터 정보보호 인력·투자를 줄여 해킹 사고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 조 대표는 언론 브리핑에서 롯데카드의 정보보안 운영 현황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정면 반박했다.

조 대표는 "MBK가 인수한 시점과 제가 대표로 부임한 2023년 이후 모두 꾸준히 정보보호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다"며 "앞으로 5년 동안은 1100억원 규모의 대대적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롯데카드가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지출한 투자액은 2021년에 비해 14.7% 줄은 116억9000만원이었다.

이와 같은 지적에 대해 조 대표는 "2021년은 전산 오류 등 보안 리스크 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기에 보안 예산이 급증한 탓"이라며 "이후에는 꾸준히 투자액과 인력을 늘려왔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앞으로 고객 피해를 제로화하고, 고객분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임무가 제가 롯데카드 대표로서의 마지막 책무라는 결연한 마음가짐으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