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06 09:00

[뉴스웍스=채윤정 기자] 추석 연휴를 맞아 방문한 할머니댁 과수원에서 사과를 따던 학생 A씨는 며칠 뒤 두통, 고열, 근육통에 시달렸다. 결국 상태가 악화돼 응급실을 방문하자, 혈액검사를 통해 '쯔쯔가무시병' 확진을 받았다. 항생제 투여후 증세가 호전됐지만,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신부전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이었다.
추석 명절을 맞아 성묘 때 무심코 들어간 풀숲이 건강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3주 이내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물린 부위에 가피(딱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영동군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51명으로, 2022년(27명)의 두 배, 2023년(35명)보다 1.5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봄철부터 환자 발생이 급증하는 추세여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는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다. 9~11월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게 물린 후 잠복기(4~15일)를 거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 증상을 보인다. 예방백신이 없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다. 성묘·벌초를 할 때 긴팔, 긴바지 옷을 착용하는 것은 물론 양말·모자·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드기 기피제는 3~4시간마다 사용해야 한다. 귀가 후에는 샤워와 입고간 옷을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 빠르게 의료기관에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무료로 진드기 기피제를 배부하는 보건소도 있으니 필요 시 방문해 수령하면 된다.

벌쏘임 사고도 추석 전후로 많이 발생해 큰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해 경북 지역에서 집계된 벌쏘임 사고는 1163명이었으며, 이 중 8~9월에만 581명, 추석 전 2주 동안에만 258명이 발생했다.
각 지역 소방본부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벌초객이나 성묘객들에게 '벌 쏘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말벌이 있는지 먼저 확인한 뒤 벌초하고, 긴 상의와 하의를 착용하라는 조언이다.
관련기사
- 추석 연휴 아프다면…'문 여는 병·의원' 여기서 확인하세요
- 추석 귀성길, 휴게소·축제장서 '신권' 교환 가능해요
- 7일간의 추석 연휴…"쓰레기 배출일 확인하세요"
- "여권 챙겼다면 보험까지"…추석 황금연휴 해외여행자 보험 '이모저모'
- 귀성길 안전 이것부터…'최장 10일' 장거리 운행 '체크리스트'
- 백화점·아울렛·대형마트, 추석연휴 집중 휴무일은 '6일'
- "환전만 해도 괌 리조트?"…황금연휴, 은행 혜택 누려보세요
- 경찰청, 추석 연휴 대대적 음주운전 단속…'낮술'도 예외 없다
- "문자 링크 눌렀더니 계좌 털려"…카톡 '보호나라'로 스미싱 확인하세요
- 추석 연휴, 車 고장나면 어쩌나…"긴급출동·무료견인서비스 이용하세요"
- 긴 연휴에 고기 수요도 '껑충'…"소고기는 밝은 선홍색으로"
- 추석 연휴 '통행료' 없이 고속도로 지나세요…4~7일 나흘간 면제
- "황금연휴 해외여행 못 갔다면?"…무료 개방 '고궁·조선왕릉' 놀러 오세요
- "추석 장바구니 걱정 NO"…2차 소비쿠폰 적극 활용하세요
- 뭐하고 놀까?…게임하면 "아이템 와르르"
- '추석 화재' 지난 5년간 1170건 달해…'K급 소화기' 준비해야
- "다 같은 홍삼 아니네?"…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 확인해야
- '考'는 왼쪽, '妣'는 오른쪽…추석 차례상 지방 쓰는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