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25.10.27 10:06
이자만 14억5000만원 지급…전북은행, 7억으로 가장 많아
강민국 "거래소 실명계좌 제휴 은행, 자금세탁 여부 조사해야"

[뉴스웍스=정희진 기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감금·폭행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과 '후이원그룹'이 국내 은행들과 2100억원이 넘는 금융거래를 이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은행은 해당 범죄조직에 14억원이 넘는 예금이자를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국내 금융업권 캄보디아 프린스 및 후이원그룹 거래 내역'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프린스그룹과 금융거래를 한 국내 은행은 총 5곳, 후이원그룹과 거래한 은행은 1곳으로 조사됐다.
직접 범죄단지를 운영해온 것으로 알려진 프린스그룹과 국내 은행 간 금융거래 규모는 총 2146억8600만원에 달했다. 은행별로는 전북은행이 1252억원(51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 707억8800만원, 신한은행 77억900만원, 우리은행 70억2100만원, 아이엠뱅크 39억6000만원(해외송금) 순이었다.
아이엠뱅크의 해외송금을 제외한 4개 은행이 프린스그룹의 예치금에 대해 지급한 이자만 14억5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급액은 전북은행 7억870만원, 국민은행 6억7300만원, 신한은행 6100만원, 우리은행 1100만원이다.
현재 프린스그룹의 예금이 남아 있는 국내 은행은 총 4곳으로, 국민은행이 566억5900만원(정기성 예금 1건), 전북은행 268억5000만원(7건), 우리은행 70억2100만원(1건), 신한은행 6억4500만원(입출금 예금 1건)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모두 합치면 예치 잔액은 911억7500만원에 이른다.
범죄자금 세탁 혐의가 제기된 후이원그룹과 거래한 은행은 전북은행 한 곳으로, 2018년 8월 개설된 당좌예금(10만원) 1건만 존재하며 별도 이자는 지급되지 않았다.

문제는 프린스그룹과 후이원그룹이 거래한 은행들은 국내 코인 원화거래소의 입출금 인증계좌 은행이라는 사실이다. 프린스그룹이 북한 해킹조직의 가상자산 자금세탁 창구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원화거래소 자금 흐름에 대한 정밀 조사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금감원이 2015년 이후 2025년 9월까지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 법인·지점에 대해 실시한 검사 내역은 2017년 KB캄보디아은행(7월 5일~14일)과 2022년 신한캄보디아은행(12월 5일~13일) 단 두 차례뿐이었다.
특히 신한은행은 2018년 3월부터 프린스그룹과 정기성·입출금 예금 거래를 해왔음에도, 금감원은 점검 및 검사에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5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경고에 언론을 통한 피해 보고와 현지 교민 사회의 제보에 10월 14일 미국과 영국의 초국가적 범죄 조직 규정 및 동시 제재 등 국제사회 움직임과 여론의 성토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아직도 캄보디아 범죄 조직을 대상으로 한 제재 검토 발표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위원회는 프린스 그룹 등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 제재대상으로 지정하고, 특히 이들과 거래한 국내 코인거래소 인증계좌 은행들을 중심으로 자금세탁 여부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빗썸, 캄 범죄조직 프린스그룹 자금세탁처 '후이원'과 145억 거래
- 농협은행, 캄보디아 송금 4년 새 3배↑…'보이스피싱 루트'로 악용되나
- 이찬진 금감원장 "디지털자산·내부통제 손질…감독체계 바로잡겠다"
-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자금, 국내 은행에도 있었다…912억 예치 확인
- 정부, 캄보디아 범죄조직 금융제재 검토…"미국·영국 이어 자산동결 압박"
-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대대적 단속…20개국 출신 3400명 체포
- 美·英, 캄보디아서 '불법스캠' 조직 제재…21조 규모 비트코인 몰수 소송
- 저소득 자영업자만 빚 늘었다…대출 1069조 돌파 '사상 최대'
- 캄 범죄로 드러난 'AML 사각지대'…당국 "타깃형 규제 마련"
- 금투협회장 퇴직 후에도 '월 2000만원' 수령…강민국 "종합감사 해야"
- 업비트, 캄 범죄 연루 경찰 압수수색 논란에 "후이원 거래 차단·수사 협조"
- "국경 넘는 자금세탁 원천차단"…금융정보분석원 '초국경 AML' 대응 나서
